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정책 불확실성으로 지난 11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코스피 지수가 전일대비 18.17포인트(0.91%) 하락한 1984.43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4.2원 오른 1,164.8원, 코스닥은 1.34포인트(0.22%) 떨어진 621.89로 장을 마감했다. /사진제공=뉴스1<br> |
1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 전 달러당 1135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이후 3거래일간 29.8원 상승했다. 이 기간에만 약 2.6% 절하된 것이다.
당선 당일 14.5원 오른 원/달러 환율은 이튿날은 10일에는 1.1원 소폭 상승한 뒤, 11일에는 다시 14.2원 급등했다.
트럼프가 당선 수락연설에서 “미국의 이익을 우선시하겠지만 다른 나라도 공정하게 대하겠다”고 밝히면서 점차 시장이 안정화되는 분위기를 보였다가, 연준(Fed) 고위 인사들이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치자 다시 오름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트럼프 재정확대 기대, 미 연준의 12월 금리인상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글로벌 달러강세가 나타났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단기간 상승 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외환당국은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가장 컸던 것은 트럼프 당선이 확정된 지난 9일이었다.
장 초반만 하더라도 민주당 클린턴 후보의 우세가 예상돼 전일대비 6원 내린 1129원에 출발했다가 오전 11시경 트럼프가 플로리다 등 경합주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나자 급등세로 바뀌었다. 환율은 오후 1시경 1157.3원까지 올랐다. 약 2시간만에 30원 가량 속등한 것.
이에 외환당국은 미세조정에 나섰고 급등세는 진정됐으나 트럼프 당선 이후 글로벌 달러강세 흐름을 온전히 감내하기는 쉽지 않은 분위기다.
트럼프 당선 이후 환율 변동성이 커지는 것에 당국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트럼프가 취임 직후 대미 흑자가 높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엄포한 상황이어서 외환시장 미세조정 개입도 조심스런 상황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일 금통위 기자회견에서 “우리나라는 환율 특정수준을 목표로 (개입)하지 않는다”며 “과도한 쏠림현상이 발행할 경우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안정화시킨다는 기본적 스탠스를 미국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계속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시장금리도 트럼프 당선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트럼프가 재임 기간 약 1조달러의 인프라 투자 등 재정지출 확대를 공언한 영향으로 특히 10년물 이상 장기물 채권금리가 대폭 상승했다.
트럼프 당선 전인 지난 8일 1.425%였던 국채 3년물 금리는 11일 1.508%로 마감했다. 3거래일간 0.083%포인트 오른 것이다. 같은 기간 10년물은 0.236%포인트(1.702%→1.938%), 20년물은 0.229%포인트(1.798%→2.207%) 각각 상승했다. 장기물 금리상승 폭이 더 컸다.
이처럼 시장금리가 오르면 은행들의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 결과적으로 여수신금리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특히 수익성 악화를 우려한 금융권이 저축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더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될 경우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차입자들의 이자 상환 부담이 더 커진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9월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비중은 48.6%이며 나머지 51.4%는 금융채 등 시장금리와 연계된 변동금리 대출이다. 고정금리 대출 중 상당 부분이 3~5년 뒤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혼합형 대출상품’으로 추정된다.
다수의 전문가들이 ‘트럼프발 가계부채 리스크’를 경고하는 이유다.
정부와 한은은 당장 이 문제로 인해 금융권 시스템리스크가 발생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그러나 우선 저소득·저신용자 위주로 부채상환 리스크가 높아지는 점에 대해서는 경계하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가 단기적으로 취약계층 중심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은 지난 11일 '제2금융권 가계부채 간담회'에서 “올해 안에 가계대출이 급격히 확대된 상호금융조합과 새마을금고를 특별 점검하는 한편 이르면 내년 초부터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에도 여신신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해 소득 심사를 깐깐히 하겠다”고 밝혔다.
유엄식 기자 us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