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외환 급감·디플레 등 中증시 뒤흔들 '5가지 위협'

중국관련

by 21세기 나의조국 2016. 1. 9. 10:55

본문

 

외환 급감·디플레 등 中증시 뒤흔들 '5가지 위협'

뉴스1|황윤정 기자|입력2016.01.08. 13:45

 

 

 

(서울=뉴스1) 황윤정 기자 = 새해 벽두부터 중국 증시가 급락과 반등을 거듭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이어가면서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중단하고 위안화를 소폭 절상했다고 발표하면서 8일(현지시간) 중국 증시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상황을 낙관하기에는 이르다. 8일 CNBC는 향후 중국 증시 뇌관이 될 다섯 가지 요인을 지적하며 투자자들의 경계를 당부했다.

 

 

1. 급격히 고갈되는 외환보유액


7일 발표된 중국의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민은행은 12월 외환보유액이 3조3000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1080억달러 줄어든 수치다.

 

7일 베이징에 위치한 한 증권사에서 한 남성이 주가를 보여주는 대형 스크린 앞에서 자고 있다.  © AFP=뉴스1
7일 베이징에 위치한 한 증권사에서 한 남성이 주가를 보여주는 대형 스크린 앞에서 자고 있다. © AFP=뉴스1

 

중국 외환보유액이 증발하고 있다는 것은 중국에서 자본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본 유출이 증가하면서 위안화의 가치가 약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마크 윌리암스는 “위안화 약세, 경기 둔화, 부패척결 움직임이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2. 미봉적인 대주주 지분 매각 금지 조치


중국은 증시 폭락 이후 지난해 7월8일부터 6개월간 상장기업의 주식을 5%이상 보유한 대주주들의 지분 매각을 금지했었다. 이 조치는 지난 1월7일로 해제됐어야 했다. 그러나 대규모 물량이 증시에 쏟아져 나와 증시가 급락할 것이란 우려가 확대됐고, 이에 중국 정부는 매각 지분이 3개월내 1%를 넘지 않도록 하는 매각 제한 조치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 증시를 안정시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증시의 불확실성을 오히려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의 잦은 개입이 증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NBSO투자은행은 7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언젠가는 대규모의 지분이 매각될 수 있다는 우려가 해소되지 않았다”며 “장기적으로 오버행(잠재 대량 매각 물량) 이슈가 투자 심리를 제약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3. 서킷브레이커 재도입?


중국 정부는 7일 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서킷브레이커(주식 매매 일시 중지) 시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4일과 7일 증시 패닉 현상의 주원인으로 서킷브레이커가 꼽히면서 내린 결정이다. 전문가들은 서킷브레이커를 재도입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제도 보완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4. 디플레이션 우려 확대


중국의 작년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 1.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자물가지수는 6%나 떨어졌다. 생산자물가지수는 45개월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투자은행 NBSO의 던컨 리글리는 “생산자물가 하락과 기업 이익 축소되면 많은 중국 기업들이 고통을 겪게될 것”이라며 “기업들의 부채 부담이 높아지고 투자금 확보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는 9일 발표될 중국 물가상승률이 양호한 수치를 기록하면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될 수도 있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류 창은 “소비가 물가가 상승하면 디플레이션 압력이 누그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5. 위안화 약세


인민은행은 지난 7일까지 8거래일 연속으로 위안화 가치를 절하했다. 위안화 약세는 수입물가의 상승을 초래해 미국과 유럽기업들의 중국 시장 판매를 어렵게 한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가 5% 하락했고 올해에도 약세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맥쿼리그룹의 티어리 위즈만은 “올해 위안화 가치는 달러화대비 8%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yung@news1.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