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요동치는 중국 금융시장에 한국도 날벼락

중국관련

by 21세기 나의조국 2015. 8. 25. 12:05

본문

 

요동치는 중국 금융시장에 한국도 날벼락

시장원리 무시한 '관제증시(官製證市)' 한계 노출

매경이코노미|배준희|입력2015.08.24. 15:12

 

 

 

“中 정부 지속적인 개입 힘들 것” 우려에 투자심리 악화
코스닥 한때 6%대 급락…국내 증시도 中리스크 직격탄

 

요즘 중국 금융시장은 그야말로 현기증이 날 정도로 요동친다.

 

중국 주식시장은 1990년 개장 이후 수차례 폭락이 되풀이됐지만 1990~2000년대 초반은 중국 경제가 고속성장을 하던 때였다.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중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이 불안하기 짝이 없다. 보다 못한 금융당국이 기습적으로 위안화 절하 카드를 들고나왔지만 약발은 채 1주일도 못 갔다.

 

위안화 절하가 경기 부양 효과는 별로 없는 반면 추가 절하 우려가 커지자 중국 증시에 투자했던 외국인투자자들이 이탈하는 속도만 가팔라졌다. 인접한 한국 증시도 중국 소비주를 비롯한 성장주들이 큰 폭 하락하는 등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코스닥이 2% 넘게 하락한 지난 8월 20일 오후 서울 중구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보다 13.84포인트(2.06%) 내린 656.71로 마감했다.
코스닥이 2% 넘게 하락한 지난 8월 20일 오후 서울 중구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보다 13.84포인트(2.06%) 내린 656.71로 마감했다.

 

중국 주식시장은 6월 중순까지만 해도 세계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은 증시였다. 지난해 6월 이후 상하이종합지수는 1년간 2배 이상 뜀박질했고 빚까지 얻어가며 주식에 투자한 9000만 인구는 환호성을 질렀다.

 

지금은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요즘 중국 증시는 주가가 폭락하면 정부가 강력한 부양책을 내놓고, 그래도 폭락하면 또다시 더 강력한 부양책을 내놓는 식의 악순환이 반복된다. 지난 8월 18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6.15%(245.51포인트) 급락한 3748.16으로 폭락세를 연출했다. 지난 7월 27일 8.5% 폭락한 이후 또다시 3주 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됐다.

 

 

최근 중국 증시가 불안한 원인은 크게 2가지로 요약된다.

 

일단 정부의 지속적인 개입이 힘들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며 투자자 이탈이 빨라졌다. 중국증권등기결산공사 통계에 따르면 7월 중 고액투자자(위탁잔고 500만위안 이상) 계좌가 6만개나 줄었다.

 

최성락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공공자금을 동원한 주식 매입 등 중국 정부의 주가 부양 조치가 장기간 지속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며 투자자 이탈 우려가 높아졌다”며 “최근 정부가 시장안정기금을 통해 주가를 방어하는 동안 정작 투자자들은 7월 한 달간 1조위안의 펀드를 환매한 것도 불안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관제(官製)금융’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다는 점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는 시각이 많다. 실물경기가 받쳐주지 않는 상태에서 시장원리를 외면한 인위적인 증시 띄우기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분석이다.

 

과거 중국 증시 폭락의 사례를 살펴봐도 당국이 주도했던 부양책은 제한적인 효과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증시 폭락 때마다 꺼내든 부양책

주가 반짝 반등 뒤 다시 제자리
최근 잇단 증시 띄우기도 무위로

 

1990년 상하이증권거래소 개장과 함께 문을 연 중국 주식시장은 그해 말 120선으로 마감한 뒤 불과 1년 반 만에 1000선을 넘어섰다. 이후 상하이종합지수는 등락을 거듭하다 1994년 300선까지 고꾸라졌지만 바닥을 치고 반등하기 시작해 2000년 7월 2000선을 넘었다. 환호성은 길지 못했다.

 

2001년 6월 2200선까지 치솟았던 상하이종합지수는 4개월 만인 같은 해 10월 1500선까지 급전직하했다.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을 때도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지급준비율 인하 등을 발표하며 주가 띄우기에 나섰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2007년 10월 16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6124.04로 최고점을 찍었지만 이후 딱 1년 만에 1909.94로 추락했다.

 

한국 증시도 덩달아 역풍을 맞고 있다. 2000년 중반 이후 중국 주식시장과 한국 증시 사이 연관성은 미국, 유럽 등 다른 선진국 시장보다 더욱 강화되는 추세가 확연하다. 수출에 의존한 한국 경제구조 특성상 인접한 중국 경제가 갖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코스피 간 상관계수는 2007년 이후 평균적으로 0.5를 중심으로 움직인다. 전문가들은 통상 상관계수가 0.4 이상이면 서로 의미 있는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국제금융가에 문을 열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지난해부터 후강통 등으로 외국인투자자들에게도 문턱을 낮추면서는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도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 증시는 아직까지 글로벌 금융권에서는 신흥 시장으로 분류되는데, 통상 외국인투자자들은 중국 증시가 내릴 때 국내 상장기업 주식도 함께 내다 파는 경향이 강하다.

 

대표적으로 근래 중국 증시가 연일 급락하자 8월 19일 코스닥지수는 오후 한때 전날 종가 대비 6.8% 급락하며 650선까지 밀려났고 코스피도 1900선 초반까지 주저앉았다. 특히 코스닥시장은 지난 8월 11일 중국의 위안화 절하 이후 6거래일간 11% 폭락해 세계 주요 증시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중국 경제 이상설이 확산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증시 부양책도 약발을 받지 못하자 비관론이 급속도로 퍼진 결과다. 과거에도 중국 증시가 급락하면 한국 주식시장도 함께 휘청대는 경우가 적잖았다. 2000년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종가 기준 8.84% 폭락했던 2007년 2월 27일 이후 3거래일간 코스피는 5% 넘게 하락했고, 지난 7월 27일 8.48% 급락했을 때도 코스피는 약세를 보였다.

 

문제는 앞으로의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하다는 것. 최근 중국 현지를 직접 다녀온 전종규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현지 전문가들 의견도 낙관론이 대세를 이뤘던 5월과는 달리, 대부분 보수적인 시각으로 전환돼 있었다. 특히 중국 증시에서 개인투자자의 시장 신뢰 상실과 이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시기적으로 경기지표 발표와 정책 이벤트가 몰려 있는 10월이 변곡점이 될 듯하다”고 내다봤다.

 

중국이 휘청거리면 단기적으로 한국 증시 또한 크게 휘둘릴 수밖에 없다. 위기 때마다 애매모호한 낙관론으로 늘 탈출구를 열어두던 국내 증권사들 시각도 근래에는 비관론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가 확연하다.

 

“지금 우리가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에서의 오류는 중국 정부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런 시각은 반드시 바꿀 필요가 있다. 어떠한 지표를 그려봐도 중국의 경기 모멘텀은 하락 국면이다. 다만 올해 국내 상장기업들의 순이익 총량은 지난해 76조원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를 근거로 본다면 코스피는 1900 수준까지 추가 하락하더라도 이후에는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동필 흥국증권 애널리스트의 진단이다.

 

 

또다시 불거진 ‘9월 위기설’

美·中 G2 리스크에 금융시장 출렁…“과도한 우려”

 

이른바 ‘9월 위기설’이 금융가에 또다시 고개를 내밀었다. 2008년 9월 미국 리먼 브라더스 파산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 만이다. 물론 2008년과는 대내외 경제 여건에 차이가 많고, 리스크 통제 시스템도 대폭 확충된 만큼 9월 위기설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그렇지만 미국발 금리 인상과 중국 경제 경착륙이 현실화할 경우 일부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이 요동칠 것이란 불안감은 여전하다.

 

9월 위기설의 진원지는 미국 월스트리트 금융가다. 월가에서 시작된 9월 위기설은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 금융권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논리는 간단하다. 미국이 다수 전문가 예측대로 9월 금리 인상을 시작하고, 중국의 위안화 절하까지 겹칠 경우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투자자들이 빠른 속도로 아시아 신흥 시장에서 자금을 빼나갈 것이란 관측이다.

 

이미 기정사실화된 미국 금리 인상으로 그렇지 않아도 신흥국 통화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위안화 절하는 그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는 촉매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신흥국들의 부도 위험은 급증했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통화가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물론 정부는 금융시장이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9월 위기설은 위험 요인에 기댄 억측이라는 공식 입장을 되풀이한다. 최근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 겸 부총리는 위기설을 심화시킨 위안화 평가절하가 오히려 한국 경제에 득이 되는 부분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동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아시아 일부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큰 폭 하락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근본적인 펀더멘털이 악화됐기 때문이 아니라 중국 등 대외 변수의 영향이 통화가치에 반영된 결과로 봐야 한다”며 위기설을 반박했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822호 (2015.08.26~09.01일자) 기사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