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중국서 사자견 복제 사업 나서는 황우석 >>>

중국관련

by 21세기 나의조국 2014. 11. 19. 14:15

본문

 

중국서 사자견 복제 사업 나서는 황우석

부유층 선호하는 희귀종으로 고가 매매 가능…중국, 바이오산업의 블랙홀로

한경비즈니스|입력2014.11.14 16:27

 

 

 

중국은 철강·조선·가전 등 제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산업에서도 한국 등의 기술을 흡수하며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2004년 황우석 사태, 2012년 알앤엘바이오 사태 등을 겪으며 위축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 제대로 발붙이지 못한 첨단 바이오 기술이 중국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 배경은 중국에서 줄기세포 등 첨단 바이오 기술 연구에 대해 윤리·도덕적인 반대 여론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적어 상대적으로 연구가 자유롭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막대한 규모의 내수 시장, 바이오 기술에 종사하는 뛰어난 인재,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등에 힘입어 중국의 생명과학 및 바이오 기술 수준은 세계 톱 수준을 넘보고 있다.

 

황우석 박사와 손잡은 보야라이프그룹

 



한국 바이오 기술의 중국행은 속속 진행됐다. 최근 한국 첨단 바이오산업의 상징적 인물인 황우석 박사가 중국 바이오 기업과 손잡고 동물 복제 상용화에 나섰다. 황 박사가 이끄는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은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에서 현지 기업인 중국 보야라이프그룹과 '보야-수암 합작회사'를 세운다고 밝혔다.

 



보야라이프그룹은 합작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40억 위안(약 7000억 원)의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고 수암연구원 측은 기술 분야 투자를 하게 된다. 보야라이프그룹이 중국 웨이하이시에 총 6만1804㎡(1만8700평) 규모의 연구 단지를 건립 중이고 중국 정부는 연구소와 국제생명건강센터 설립에 필요한 건물과 토지 등을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월 27일 황 박사와 보야라이프그룹의 만남을 크게 다룬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합작 벤처는 사자개(티베탄 마스티프) 복제 및 우량 소 복제, 자이언트 판다 복제 등 동물 복제와 줄기세포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황 박사에게 손을 내민 보야라이프그룹은 어떤 곳일까. 보야라이프그룹은 자본금 2억 달러(2106억 원)로 4개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고 세계 16개 지역 28개의 자회사와 지사를 갖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바이오 그룹이다.

 



보야라이프그룹은 2009년 줄기세포 연구 국제 컨소시엄(INCOSC)을 설립, 세계적으로도 가장 큰 규모의 줄기세포 연구소 중 하나로 성장시켰고 중국 과학기술부의 국책 연구를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보야라이프그룹의 주요 영역은 줄기세포다. 보야라이프그룹에 따르면 보야라이프줄기세포은행은 세계적으로도 규모가 가장 크고 자동화된 유일한 임상 수준의 줄기세포 은행을 보유하고 있다.

 

줄기세포 외에도 재생의학, 혁신의학, 질병 메커니즘 연구, 유전자 검사, 헬스 케어 등을 사업 영역으로 두고 있다. 보야라이프그룹의 계열사 중 9개가 줄기세포 기술, 6개가 재생 의약, 5개가 신약 개발 분야에서 연구 및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야라이프그룹은 올해 초 수암연구원의 황 박사 일행을 중국에 초청해 합작회사 설립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설립 과정에서 수암 측은 중국의 상징적 견종인 '사자견'을 처음 복제 시도했고 이에 성공해 복제 사자견을 웨이하이시 인민 정부에 전달했다.

 



보야라이프그룹 최고경영자(CEO)인 쑤야오춘 박사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중국 내 사자개는 부와 명예의 상징으로, 교배시키는 데 마리당 약 500만 달러(52억 원) 이상의 비용이 들고 강아지는 마리당 260만 달러(27억 원)에 팔린다"며 "황 박사와 사자개 복제 이외에 다양한 동물 복제 및 줄기세포를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쑤야오춘 박사의 말처럼 희귀종 복제에 성공한다면 고가에 매매가 가능하므로 수익적으로도 상당한 매력을 갖고 있다. 수암연구소와 보야라이프그룹은 사자개와 같이 고가에 거래되는 품종을 부유층이 사들이는 데 서슴없이 지갑을 열기 때문에 시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더 나아가 중국은 현재 전 세계에서 희귀종인 자이언트 판다의 복제도 연구하고 있는데 이에 성공한다면 세계 부유층에게 비싼 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개 복제 연구에 성공한 황 박사는 수암연구소를 통해 전 세계로부터 의뢰를 받아 애완견을 복제하는 사업을 해왔다. 황 박사는 지난 2월 대법원에서 집행유예 판결이 났다. 논문 조작에 대한 의혹이 제기된 지 약 10년 만에 나온 결론이다. 그동안 황 박사는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 동물 복제 실험에 매진했다.

 



황 박사팀은 뛰어난 탐지 능력을 가진 탐지견을 2009년 다섯 마리 복제해 제주경찰청과 인천공항에 기증했다. 해외 의뢰를 받아 호주 경주 챔피언견, 미국 9·11테러 영웅견 복제 등을 성공시켰다.

 

현재까지 개 복제에 성공한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황 박사가 구축한 애완견 복제 프로세스는 이제 보야라이프그룹과의 합작을 통해 중국에서 상업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된 것이다.

 



황 박사에 앞서 국내 첨단 바이오 기술의 중국 상용화 시도가 있었다. 한국 성체줄기세포 전문 기업인 알앤엘바이오(현 케이스템셀)는 2010년부터 국내가 아닌 중국 베이징·상하이·광둥 지역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환자 치료를 시작했다.

 



알앤엘바이오와 중국이 합작해 발족한 성체줄기세포 연구개발센터는 중국과 세계 각국 환자를 대상으로 알앤엘바이오가 분리 배양한 자가 지방 줄기세포를 이용해 당뇨병·파킨슨병·신경계 질환을 치료해 왔다.

 

당시 알앤엘바이오가 중국에서 줄기세포 치료를 시작한 것은 한국 내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행위가 금지돼 있었고 연구 분위기도 비우호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중국을 비롯해 일본·미국 등에서 시술하던 알앤엘바이오는 결국 2013년 1월 보건복지부의 검찰 고발로 비극이 시작됐고 2013년 4월 상장폐지되는 수모를 겪은 바 있다.

 



박근혜 정부서 사라진 '바이오산업' 지원책

 



중국 바이오산업은 전 세계의 기술과 자본을 블랙홀처럼 흡수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황 박사 사례처럼 외국 기술과 합작하거나 인수·합병(M&A)을 진행하며 생명공학기술(BT)을 높이고 있다.

 



2012년 중국 BT 업계는 다국적 제약 업체의 중국 의약 시장 진출과 중국 국내 대형 제약회사의 내부 구조 조정의 영향으로 M&A가 활발히 진행됐다. 2012년 총 104건의 인수·합병이 진행됐고 거래 규모는 88억 달러를 기록했다. 2009년 4억4000만 달러에 불과하던 BT 기업 인수·합병 시장 규모가 40배 이상 커진 것이다.

 

중국 기업이 외국 선진 제약 회사의 일부 부분을 인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2010년 중국 하야오그룹은 미국 화이자 제약으로부터 돼지 인플루엔자 중국 사업부문을 인수했다.

 



중국 바이오 기업의 성장 기반은 자본력이다. 2012년 벤처캐피털과 사모 펀드의 중국 바이오산업 투자 규모는 22억5000만 달러(약 2조4000억 원)를 기록했고 단일 항목에 대한 최대 규모 투자액은 3260만 달러(약 346억 원)에 달했다.

 

비슷한 시기 글로벌 바이오산업계에 대한 투자는 크게 줄었다. 2007년 67억 달러에서 세계 경기 불황 한파의 영향으로 2010~2012년에 60억 달러로 급감한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은 바이오산업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정하고 수년째 바이오산업 기반 강화에 '올인'하고 있다. 그 덕분에 중국 바이오산업 규모는 2005년 6000억 위안(105조4440억 원)에서 2010년 1조6000억 위안(281조1840억 원)으로 연평균 21.6%나 급성장했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 아래 2000년 이후 중국 바이오산업은 고속 발전기를 맞이하게 됐다.

 



황 박사의 동물 복제 기술처럼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이 붙은 국내 바이오 기술이 하나둘씩 나오며 굵직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국내 바이오산업계에서는 정부의 한풀 꺾인 지원 기조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2012년 기준 전체 정부 연구·개발(R&D) 투자금 16조 원 중 1조6814억 원을 바이오 R&D에 쓰는 데 그쳐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박근혜 정부에서는 창조 경제를 강조하면서 바이오산업에 대해 과거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에 비해 투자와 관심이 적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진원 기자 zinone@hankyung.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