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기후 변화 (지구는 어머니다 )
지구는 어머니다 2011-01-20 조성하 여행전문기자
사실 요즘의 추위와 눈은 어린 시절, 그러니까 1960, 70년대에는 예사였지 않았나 싶다. 칼바람은 어찌나 매섭던지, 눈은 또 어찌 그리 자주 내리던지. 동네 골목에서 대나무를 구부려 만든 스키로 눈을 지쳤고 논에 물 대어 얼린 얼음판에서 노상 스케이트나 썰매를 탔다. 꽁꽁 언 한강대교 아래 얼음판 위로는 긴 장대를 양팔에 끼고 건너던 사람도 보였다. 내복과 장갑은 누구에게나 필수품이었고 삼한사온은 달력만큼 정확했다.
올겨울은 그런 옛 겨울의 모습을 닮았다. 그런데 의문이 든다. 모처럼 되돌아온 이 춥고 눈 많은 겨울이 ‘자연으로의 복귀’인지 아니면 ‘이상기후의 징후’인지. 아무리 생각해도 자연 복귀는 아닌 듯해 걱정스럽다. 눈 없고 따뜻한 겨울이 20년 이상 지속돼서다. 할리우드판 재난영화 ‘투모로우’(원제 The Day After Tomorrow)를 봤다면 이게 지구 빙하기의 전주곡이 아닐까 하는 섣부른 망상을 떠올릴 수도 있고.
덥혀진 지구, 분명 정상은 아니다. 사람에 빗대어 봐도 분명하다. 체온이 불과 1도만 올라도 인체는 상당부분 기능을 상실한다. 2도쯤 오르면 생명이 위협을 받는다. 그런데 우리의 ‘어머니 지구(Mother Earth)’는 어떤가. 2009년 기상청 ‘한반도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만 해도 평균기온이 1.7도(1912년 기준)나 상승했다. 겨울도 22∼49일 짧아졌다. 지구 전체가 비슷하다(0.7∼0.8도 상승). 이번 강추위와 폭설도 온난화로 인한 북극권 공기의 팽창 여파라는 분석이 나온다. 걱정이 앞서지 않을 수 없다.
병든 지구를 구하는 일. 쉽지 않다. 그래도 해야 한다. ‘건강한 지구’는 미래에 물려주어야 할 ‘인류 유산’이어서다. ‘나부터, 나 혼자서라도’ 해야 한다. 이런 생각으로 십수 년 전 시작한 게 있다. 호텔에서는 큰 수건을 쓰지 않고 집에서는 난방을 최소화(평균 17도 유지)한다. 3∼4km는 당연히 걷고 출장 취재 외에는 대중교통을 선호한다. 지면에도 버스 열차패키지나 트레킹 같은 여행을 골라 소개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병구완은 자식의 도리다. 지구도 같다. 지구는 우리 모두의 어머니다.
"지구가 뿔났다" 지구촌 곳곳에서 심한 몸살: 2011.01.20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지구는 살아있는 유기체로 자신의 생존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자신에게 가해진 위협에 반응한다.” 영국의 제임스 러브록(J. E. Lovelock)의 말이다. 그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땅의 여신인 가이아의 이름을 딴 ‘가이아 가설’을 내놓았다. 그는 가이아가 자비로움과 험상궂음을 같이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편안한 세상을 만들어 주지만 지구를 엉망으로 만드는 사람들에게는 가차 없는 벌을 내린다는 것이다.
2010년은 잔인한 해였다. 지진. 홍수. 폭염. 화산폭발 등 자연재해로 전 세계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최소한 26만 명을 넘었다. 2009년보다 무려 17배나 증가했다. 경제적인 피해만도 2220억달러에 이르렀다. ‘곡물 값. 30년 만에 최고치 기록’ 뉴욕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2010년 12월 28일 거래된 원당 가격이 3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원당 생산국인 브라질이 극심한 가뭄을 겪은데다 호주의 폭우로 작황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평균기온은 최고의 무더위를 기록했다. 2만6000건의 산불로 전체 밀 농장의 26%정도가 타 버렸다. 중국에서는 홍수로 1억4000만명이. 가뭄으로 5100만명이 큰 피해를 입었다. 파키스탄에서도 홍수로 20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1월 눈 폭탄. 37년만의 여름 폭염. 가을 추석 전날의 물 폭탄. 30년 만의 겨울한파로 얼룩졌다. ‘한반도. 4계절이 미쳤다’라는 기사 제목까지 나올 정도다. 이상기후는 배추 값이 한포기에 1만6000원까지 폭등하는 현상까지 불러왔다.
2011년 벽두부터 지구촌은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채 한 달이 되지 않았는데도 호주와 브라질에 몰아친 폭우. 러시아와 중국의 혹한. 유럽과 미국을 강타한 기록적인 폭설과 혹한은 전 세계를 몸살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2010년 12월 중순부터 몰아친 이상 한파는 2011년 1월 중순까지 25일 이상 최악의 혹한으로 이어지고 있다. ‘계절이 미쳤다’거나 ‘지구가 뿔났다’는 보도 제목이 조금도 어색하지 않은 것이다. 기상학자들은 이상기상 현상의 원인을 지구온난화. 북극의 이상난동. 라니냐현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런 이론보다 필자에게는 왜 가이아가설이 가슴에 더 다가오는 것일까?
지난해 지구 관측 이래 최고 더웠다 2011-01-21[한경속보]
기상청은 지난해 전지구 평균기온이 14.52도로 2005년과 함께 관측 이래 공동 1위를 기록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기상청은 미국 대기해양청 국가기후자료센터가 지난 20일 발표한 분석자료를 인용,지난해 전지구 기온이 20세기 평균인 13.90도보다 0.62도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북반구 기온이 지난 세기 평균보다 0.73도 높았으며 이에 따라 캐나다,알래스카,북대서양,동유럽,중동,북아프리카 등이 이상고온 현상을 겪었다.반면 동태평양 대부분과 남극 해양,서유럽,중앙러시아 일부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호주 일부에서는 이상저온 현상이 나타나 지역별 기온 편차가 심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지구촌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각종 기상이변에 시달렸다.유라시아 대륙에서는 폭염으로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고 중국에서는 내몽골,신강,헤일롱강 지역이 지난달 1961년 이래 가장 추운 겨울을 보냈다.미국에선 폭설을 동반한 가장 추운 겨울폭풍이 나타났고 영국도 100년 만의 강추위에 시달렸다.
지난 여름 우리나라 서울을 강타했던 태풍 ‘곤파스’도 이같은 기상이변 사례로 볼 수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곤파스는 최대풍속 시간당 185㎞의 강한 바람을 동반해 많은 피해를 낳은 바 있다.
북극 빙설 반사율 감소, 예상치의 2배| 2011-01-20 (서울=연합뉴스)
지난 30년간 북극권의 눈과 해빙(海氷) 면적이 줄어든 데 따른 햇빛 반사율 (알베도 되먹임) 감소폭이 첨단 기후 모델 예상치의 2배가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다. 이는 반사율 감소 현상으로 증폭되는 북극권의 온난화가 종전 예상치보다 훨씬 클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미국 오리건 스테이트 대학(OSU) 과학자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에너지부 등의 자료를 분석,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현재 설빙권은 30년 전만큼 지구 온도를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모든 것이 지구 온난화 탓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 2007년 발표된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보고서에 사용된 기후 모델 중 어느 것도 이 정도의 알베도 감소를 예측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설빙권은 해빙과 눈, 언 호수와 하천, 빙하, 빙상, 언 땅 등 수분이 얼어 있는 지구 표면을 통틀어 가리키는 용어이다. 설빙권의 대부분은 햇빛 반사율이 매우 높아 지구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대기 온도가 높아져 눈과 얼음이 녹으면 반사율이 줄어들어 태양 에너지가 지표면에 흡수되면서 온난화 현상이 증폭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들은 "많은 과학자가 이런 효과를 알고는 있었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조사한 기후 모델들은 한결같이 그 영향을 과소평가해 상당히 막연한 시나리오를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18개의 기후 모델에 나타난 1979~2008년 사이의 북반구 설빙권 변화를 같은 기간 실측한 반사율 변화와 비교한 결과 대기권에 반사된 에너지의 양(복사강제)이 ㎡당 4.6~2.2 와트임을 밝혀냈다.
한편 30년의 연구 기간 설빙권의 냉각 효과는 ㎡당 0.45와트 줄어들었으며 그 원인이 적설면적 감소와 해빙면적 감소에 반반씩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일부 감소현상은 자연적인 기후 편차 때문일 수도 있으며 이런 현상을 전적으로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돌리기엔 30년은 너무 짧은 시간이다. 그러나 냉각 효과 감소 현상은 큰 의미를 갖는다"고 지적했다.설빙권 감소를 통해 지구가 반사하지 않고 흡수하는 에너지의 양은 산업화 이전부터 지금까지 증가한 이산화탄소로 인해 발생한 추가 에너지 흡수량의 30%나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눈과 얼음의 반사율이 짙은 색의 얼지 않은 땅이나 바다에 비해 크지만 상태에 따라 반사율에 많은 차이가 난다면서 올해 안에 빙설권의 반사율을 더 잘 반영하는 새로운 기후 모델이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살처분 뒤에 도사리고 있는 것 (0) | 2011.01.27 |
---|---|
구제역보다 더한 전염병, 계속될 것이다 (0) | 2011.01.27 |
구제역 살처분, 4대강 떼죽음… 그다음은 사람이다 (0) | 2011.01.16 |
지구 기후 변화 (0) | 2011.01.13 |
한반도와 국제정세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