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중국이 6월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다른 나라보다 뒤늦게 닥친 코로나19 확산이 초래한 경제 충격으로 추가 인하 가능성이 여전히 거론되지만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등 공격적 긴축에 나서자 미중 통화정책 탈동조화(디커플링) 심화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중국 당국이 일단 관망 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6월 1년·5년 만기 LPR가 각각 3.7%, 4.4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LPR는 시중 은행의 최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 동향을 취합해 평균 낸 수치에 불과하지만 시장에서는 중앙은행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사실상 LPR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앞서 인민은행은 지난 15일 LPR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동결해 시장에서는 6월 LPR 동결 전망이 많았다.
중국은 작년 12월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기점으로 '공동 부유', 저탄소 같은 장기적 차원의 '구조 개혁'에서 단기적 차원의 경기 안정으로 최우선 경제 정책 기조를 조정하고 나서 세 차례에 걸쳐 LPR를 내렸다.
작년 12월에는 1년 만기 LPR가 0.05% 인하됐고, 올해 1월에는 1년·5년 만기를 각각 0.1%포인트, 0.05%포인트 내렸다.
이어 지난 5월에는 광범위한 대출에 영향을 끼치는 1년 만기 LPR는 동결하고,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5년 만기 LPR만 기존의 4.6%에서 0.15%포인트 내렸다.
아울러 인민은행은 지난 4월 지급준비율도 0.25%포인트 인하해 100조원 규모의 장기 유동성을 공급하는 등 미국 연준의 긴축 기조와는 반대로 완화 기조를 유지해왔다.
중국이 자본 대량 유출, 위안화 가치 및 주가 급락 등 부작용 가능성에도 미국과 반대 방향의 통화 정책을 편 것은 작년 하반기 이후 본격화한 경기 둔화가 올해 3월 이후 코로나 대유행 사태 이후 더욱 심각해지면서 경제가 위기 국면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중국의 올해 성장률이 정부가 연초에 정한 5.5%는커녕 우한 사태 충격으로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최악이던 2020년의 2.3%에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왔다.
그렇지만 이미 미중 10년물 국채 금리 역전이 고착화하는 등 중국이 추가 완화 정책을 펼칠 여력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중국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더라도 하반기 중 한 차례, 0.1%포인트가량의 소폭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중국 당국도 경기 안정 의지를 강력히 피력하면서도 미래 자국에 부담으로 남을 과도한 경기 부양을 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인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15일 회의에서 "경기 사이클 조절에 집중하고 (정책) 강도를 과감하게 높여 필요한 안정 정책을 제때 내놓을 것"이라면서도 "화폐를 지나치게 찍어내지 않고, 미래를 미리 당겨쓰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ch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중국 집중호우로 강·하천 113곳 범람..중·남부 이재민 200만명 (0) | 2022.06.23 |
---|---|
상하이, 코로나 감염자 발생지 인접지까지 봉쇄 (0) | 2022.06.21 |
주중 美대사 "中제로 코로나 정책 내년까지..투자 위축" (0) | 2022.06.17 |
상하이에선 상인들, 베이징에선 학생들..中 코로나 봉쇄 시위 심상찮다 [차이나픽] (0) | 2022.06.15 |
봉쇄 피해 상하이 의류상인들 거리시위..임대료 반환 요구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