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성장률 6%대로 주저앉아..중국 경제 경착륙 우려 현실로 다가와
한경비즈니스입력2015.07.20. 11:50수정2015.07.20. 11:50
증시 폭락을 계기로 한동안 잠잠했던 중국 경제의 ‘경착륙’과 ‘중진국 함정’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을 표방한 이후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지속해 왔다. 특히 2001년 11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성장률이 한 단계 높아지면서 2010년까지 연평균 10.7%의 고성장을 구가했다.
하지만 두 자릿수대의 성장률이 2011년 2분기 이후 한 자릿수대로 떨어졌고 올 1분기에는 7%대까지 떨어졌다. 더 우려되는 것은 도시와 농촌을 중심으로 한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 성장 능력을 알 수 있는 양극화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는 양상이다. 노동·자본·토지 등 생산요소 가격도 급등하고 있어 전형적인 성장통을 겪고 있다.
특히 올 6월 중순 이후 주가 폭락을 계기로 영국의 경제 전문지 이코노이미스트 등이 지적해 왔던 중진국 함정 우려가 설득력 있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이 경제 발전 초기에 순조롭게 성장하다가 중진국 수준에 와서는 어느 순간 성장이 장기간 정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중진국 함정 빠진 중국 경제
주가 폭락, 경기 둔화, 부동산 거품, 그림자 금융…. 현재 중국 경제가 당면한 4대 현안이다. 특히 감독권 범위에서 벗어난 모든 금융을 통칭하는 그림자 금융의 규모가 워낙 커 6월 중순 이후의 주가 폭락이 부동산 거품 붕괴로 악화되는 양상이다. ‘이러다간 중국판 모기지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닌가’ 하는 위기설까지 확산되고 있다.
증시 폭락을 계기로 급부상하고 있는 그림자 금융발 위기설의 실체를 알아보기 위한 논리적인 근거로 ‘나선형 악순환 이론’을 꼽는 사람들이 많다. 경제학에서 한동안 사라졌던 이 이론이 중국 경제가 당면한 현안, 그중에서 그림자 금융발 위기설을 설명하는데 재차 거론되는 것은 사회주의 국가의 성장 경로부터 이해해야 한다.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의 성장 경로를 보면 초기 단계에는 투입되는 노동·자본 등 단순히 생산요소의 양만 늘려 성장하는 ‘외연적 단계’를 거친다. 북한의 대약진 운동이 좋은 예다. 이런 전략이 한계에 부닥치면 이후에는 생산요소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내연적 단계’를 거치는 것이 정형적인 성장 경로다.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은 이 같은 경로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부동산 거품, 물가 앙등 같은 심각한 성장통을 겪는다. 중국도 이런 후유증을 걷어낼 목적으로 1차로 2004년 하반기부터 약 1년 6개월 동안, 2차로 2010년부터 긴축정책을 추진해 왔다. 특히 중국 정부는 물가를 잡는 데 주력해 온 것이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다른 점이다.
하지만 긴축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삼은 금리 인상은 대내외 여건이 따르지 않아 실패했다. 1차 긴축 초기에 의욕적으로 단행한 금리 인상이 때마침 불어 닥친 증시 호황으로 국내 여신을 잡는 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차 긴축기에는 미국 등 선진국이 금리를 대폭 내리자 중국과의 금리 차를 노린 핫머니가 대거 유입돼 부동산 거품이 더 심해졌다.
이 때문에 긴축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금리 인상→핫머니 유입→통화팽창→부동산 거품·물가 앙등→추가 금리 인상’의 나선형 악순환 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되자 긴축 기간이 길어졌고 금리 인상 폭도 커져 경기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악조건에서 느닷없이 불거져 나온 그림자 금융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로 긴축을 단행하다 보면 2차 나선형 악순환 국면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글로벌 위기 확대 가능성은 낮아
현재 중국의 성장률은 7%로 떨어졌고 올해 2분기에는 6%대로 떨어졌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그림자 금융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로 긴축을 단행하면 곧바로 경착륙으로 추락할 위험이 높다. 긴축정책을 추진해 자산 거품과 인플레를 걷어내고 성장률(비행기)을 잠재 수준(활주로)으로 안착시켜 경제 주체(승객)들을 불안하게 하지 않겠다는 것이 중국 정부의 목표다.
만약 중국 경기가 잠재성장률 밑으로 떨어지는 경착륙에 처한다면 나선형 악순환 국면에 ‘경기 침체’라는 고리가 더 추가돼 우려 차원에서 제기해 왔던 중진국 함정에 실제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이 우려되면 핫머니가 급속히 이탈돼 자산 거품이 꺼지고 경기는 ‘역(逆)자산 효과’로 상당 기간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6월 중순 이후 중국 증시에서는 달러계 자금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 그림자 금융을 해결하기 위해 긴축을 추진하다가 오히려 경기를 망친, 1930년대 대공황의 빌미를 제공한 ‘에클스의 실수’를 저지를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뒤늦게 그림자 금융의 심각성과 나선형 악순환 고리를 인식한 중국 정부는 이런 최악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긴축정책의 방향을 대거 수정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대출금리와 예금 금리 인하 등을 중심으로 경기 부양에 나서고 있지만 뜻하지 않은 증시 폭락으로 오히려 잠복해 왔던 그림자 금융발 위기설이 고개를 들면서 새로운 국제 금융시장의 복병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정 위기가 악화될 것인지, 아니면 축소될 것인지는 크게 두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레버리지 비율(증거금 대비 총투자 금액)이 얼마나 높은지와 투자 분포도가 얼마나 넓은지 하는 글로벌 정도다. 이 두 지표가 높으면 높을수록 위기 확산형으로 악화되고 디레버리지 대상국에서는 위기 발생국보다 더 큰 나비효과가 발생한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 담보대출) 부실 사태가 글로벌 금융 위기로 악화된 것은 위기의 주범이었던 미국 금융사들의 이 두 가지 지표가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중국은 두 지표 모두 낮은 편이다. 최근 우려대로 그림자 금융발 위기설이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글로벌 금융 위기로 악화될 소지는 적다. 그 대신 그 충격은 중국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안길 가능성이 높다. 그런 만큼 금리 인하를 바탕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기 부양 대책은 중국 국민들의 부담을 보다 완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한상춘 한국경제 객원 논설위원 겸 한국경제TV 해설위원 schan@hankyung.com
<<< 달러 적수로 떠오른 위안화 글로벌 파워는 >>> (0) | 2015.07.28 |
---|---|
폭락한 상하이 증시 어떻게 대응할까 (0) | 2015.07.21 |
중국 경제와 경제에대한 생각, (0) | 2015.07.16 |
★★★★★<<< 증권사 중국팀이 추천한 유망주 15선 >>>★★★★★ (0) | 2015.07.15 |
달아오른 투자 열기에 요동치는 중국 증시 시진핑도 믿고 산다는 '중국 주식' 15선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