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친화적 경제정책 한순간에 물거품
- 증시 폭락 이후 시진핑 비판 목소리 커져
◇시진핑 경제정책의 핵심 ‘증시부활’ 타격
빈사 직전의 중국 주식시장 부활은 시진핑 경제정책의 핵심이다. 은행대출에 지나치게 기댄 중국 기업의 자금조달 길을 넓혀 숨통을 트여주고 서민들에게 돈벌이 기회를 줘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어서다. 수출과 내수가 모두 시원찮은 중국 경제 상황에서 주식시장은 마지막 버팀목 역할을 했다. 올 상반기까지 중국 증시가 뜨겁게 달아 오르자 시장에서는 ‘시 아저씨의 강세장’(the Uncle Xi bull market)이란 얘기가 나돌았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급반전했다. 지난달 12일 고점(5178.19)을 찍은 중국 증시는 3주 동안 자유 낙하했다. 지난 8일 저점 기준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3분의 1가량이 사라졌다. 중국 정부가 금리나 지급준비율 인하 같은 거시정책과 자금공급 같은 부양책을 쏟아냈음에도 시장이 속절없이 무너진 것이다. 자칫하다간 증시 불안이 실물 경제까지 흔들 수 있다는 걱정까지 터져나왔을 정도다.
화들짝 놀란 중국 정부는 지난 8일 2500억위안(약 45조원)을 경제부문에 투입하기로 했다. 대주주 지분 매각을 막고 국유기업과 인민은행을 앞세워 주가방어에 나선 이후에 겨우 반등하는 모습이다.
더 뼈아픈 대목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가 지난 27일 금리 인하 이후 수많은 대책을 내놨음에도 백약이 무효였다. 되레 시장의 불안감을 부추길 수 있는 정책 혼선마저 목격됐다. 지난 5일 매도 공세를 누그러트리려 선물 규제를 강화한 게 대표적이다. 규제 불안감이 확산한 상황에서 나온 선물시장 규제는 되레 주식을 내던지는 불쏘시개가 됐다.
◇시진핑式 통치의 한계…외국인 불안감 가중
특히 정부의 직접 개입 대신 시장에 권력을 이양하겠다는 시 주석의 방침이 훼손된 점은 치명타다. 빅터 신 UC샌디에고 교수는 ”증시급락은 시진핑 정부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라며 ”관료의 개입을 줄이고 시장에 큰 역할을 맡기겠다는 시 주석의 약속도 무효화됐다“고 지적했다.
중국 내부에서는 시 주석의 독단적인 의사결정과 금융부문의 전문가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순리핑 중국 칭화대 교수는 ”중국 정부의 중앙 통제식 접근과 전문가의 부재가 결정적 약점을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이 추진 중인 반부패개혁도 차질을 빚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반부패 척결 과정에서 경제전문가가 대거 숙청됐기 때문이다.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친시장적인 인사들에 대한 숙청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안화의 세계화나 자본시장 개방 같은 정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현재 중국 상하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절반 이상 거래가 중지됐다. 대대적인 정부의 개입과 사실상 시장통제를 목격한 외국인 투자자로서는 중국 시장의 불안감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말 열리는 총회에서 중국 위안화를 특별인출권(SDR) 통화 바스켓에 편입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앞서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 본토증시 상장주식(A주)을 이머징마켓(신흥국) 지수에 편입하지 않았다. 이는 시장접근성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이유였다.
장순원 (crew@edaily.co.kr)
- 증시 폭락 이후 시진핑 비판 목소리 커져
|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리더십이 도전을 받고 있다. 중국 주식시장의 급락 충격파가 워낙 컸던 탓이다. 중국 정부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간신히 틀어막는데까지는 일단 성공했다. 그렇지만 한번 무너진 신뢰를 회복할 길은 멀어 보인다.
◇시진핑 경제정책의 핵심 ‘증시부활’ 타격
빈사 직전의 중국 주식시장 부활은 시진핑 경제정책의 핵심이다. 은행대출에 지나치게 기댄 중국 기업의 자금조달 길을 넓혀 숨통을 트여주고 서민들에게 돈벌이 기회를 줘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어서다. 수출과 내수가 모두 시원찮은 중국 경제 상황에서 주식시장은 마지막 버팀목 역할을 했다. 올 상반기까지 중국 증시가 뜨겁게 달아 오르자 시장에서는 ‘시 아저씨의 강세장’(the Uncle Xi bull market)이란 얘기가 나돌았다.
|
화들짝 놀란 중국 정부는 지난 8일 2500억위안(약 45조원)을 경제부문에 투입하기로 했다. 대주주 지분 매각을 막고 국유기업과 인민은행을 앞세워 주가방어에 나선 이후에 겨우 반등하는 모습이다.
더 뼈아픈 대목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가 지난 27일 금리 인하 이후 수많은 대책을 내놨음에도 백약이 무효였다. 되레 시장의 불안감을 부추길 수 있는 정책 혼선마저 목격됐다. 지난 5일 매도 공세를 누그러트리려 선물 규제를 강화한 게 대표적이다. 규제 불안감이 확산한 상황에서 나온 선물시장 규제는 되레 주식을 내던지는 불쏘시개가 됐다.
◇시진핑式 통치의 한계…외국인 불안감 가중
특히 정부의 직접 개입 대신 시장에 권력을 이양하겠다는 시 주석의 방침이 훼손된 점은 치명타다. 빅터 신 UC샌디에고 교수는 ”증시급락은 시진핑 정부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라며 ”관료의 개입을 줄이고 시장에 큰 역할을 맡기겠다는 시 주석의 약속도 무효화됐다“고 지적했다.
중국 내부에서는 시 주석의 독단적인 의사결정과 금융부문의 전문가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순리핑 중국 칭화대 교수는 ”중국 정부의 중앙 통제식 접근과 전문가의 부재가 결정적 약점을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이 추진 중인 반부패개혁도 차질을 빚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반부패 척결 과정에서 경제전문가가 대거 숙청됐기 때문이다.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친시장적인 인사들에 대한 숙청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위안화의 세계화나 자본시장 개방 같은 정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현재 중국 상하이와 선전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절반 이상 거래가 중지됐다. 대대적인 정부의 개입과 사실상 시장통제를 목격한 외국인 투자자로서는 중국 시장의 불안감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말 열리는 총회에서 중국 위안화를 특별인출권(SDR) 통화 바스켓에 편입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앞서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 본토증시 상장주식(A주)을 이머징마켓(신흥국) 지수에 편입하지 않았다. 이는 시장접근성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이유였다.
장순원 (crew@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