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 한국재벌과 인플레이션
|
|
||||||||
1. 금융자본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원치 않는다
|
|||||||||
- 장기적으로 보면 그 어떤 투자나 사업의 수익률도 은행의 대출이자율 6%를 넘어서지 못한다. | |||||||||
즉, 장기적인 평균성장률이 6%가 안된다는 것이다.
|
|||||||||
1) 자본주의 지배자 금융자본 | |||||||||
(1) 금융자본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다 | |||||||||
(2) 금융자본은 낮은 단기자금 조달금리로 장기로 대여하여 수익을 극대화한다 | |||||||||
(3) 만기불일치 조달(채무)와 운용(채권)의 만기가 서로 다른 불일치-미스매치로 수익을 낸다 | |||||||||
(4) 경제위기때는 미스매치가 문제가 된다 | |||||||||
(5) 1998년 경제위기때는 종금사의 미스매치 문제로 IMF 경제위기를 맞음 | |||||||||
(6) 2008년에는 시중은행들의 단기외채 차환발행이 막히면서 환율폭등하고 위기감이 고조됨 | |||||||||
=>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시중금리가 올라가데 되는데 단기조달금리는 쉽게 올라가는데 | |||||||||
장기 계약을 해둔 대출금리는 올릴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 |||||||||
하이퍼인플레이션은 금융업의 존재기반 자체를 허물어버린다. 누가 예금을 하고, | |||||||||
누구에게 대출을 해줄 것인가> | |||||||||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금융자본은 부채비율이 높은 산업자본에 종속되는 결과가 빚어진다 | |||||||||
그래서 선진자본주의의 지배자인 금융자본의 이익에 반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 |||||||||
발생하지 않는다 | |||||||||
=>금융자본은 자신의 지배상태를 일거에 뒤집어 버리는 높은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 |||||||||
자신들의 모든 역량을 동원한다. 오늘날 금융자본은 "채권시장의 자경단"이라는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 |||||||||
압박수단을 가지고 있다
|
|||||||||
2) 채권시장의 자경단 | |||||||||
(1) 그나라의 경제정책에 막각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적극적인 투자자집단을 가리켜 "채권시장의 자경단"이라 | |||||||||
한다. 조지 소로스는 외환시장을 공격함으로써 1992년 영국, 1995년 일본정부 정부를 굴복시킴. | |||||||||
1일 외환거래액은 3조4700억달러(3,914조원) | |||||||||
(2) 금융시장이 EU각국 정부에 가한 압력덕분에 EU의 발전이 앞당겨짐 | |||||||||
(3) EU21개국 장관이 그리스 사태로 인한 주가폭락에 토요일에 그리스 지원책을 하루만에 의결함
|
|||||||||
3) 정치권력과 금융권력 | |||||||||
(1) 막스베버 : 서양은 정치와 금융이 상호 경제하고 균형을 이루는 관계. 이에 대해 막스 베버는 | |||||||||
금융과 정치가 결혼함으로써 서양의 자본주의 체제가 탄생했다. | |||||||||
(2) 경제선진국에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않는것은 금융자본이 자리잡고 있는 사회구조때문이다 | |||||||||
- 따라서 오늘날과 같이 금융네트워크가 발달한 상황에서 선진국에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원칙적으로 | |||||||||
불가능하다. 오늘날 경제위기를 맞은 미국이나 유럽선진국들은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서도 고통스럽게 | |||||||||
긴축을 하고 있지 돈을 찍어내고 있지 않다
|
|||||||||
4) 산업자본 역시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원치 않는다 | |||||||||
(1) 2011년 3분기 미국기업이 보유한 현금및 유동자산은 2조1200억달러(2400조원) | |||||||||
(2) 미국 기업들이 현금보유량 계속 늘려가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닥칠것으로 전혀 예상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 | |||||||||
=> 즉 경제선진국에서는 산업자본도 인플레이션에 반대하는 세력
|
|||||||||
5) 선진국대 후진국 | |||||||||
(1) 한국 : 1998년 이전에 대기업 부채비율 400% | |||||||||
산업자본이 인플레이션을 원하게 된다. 결국 핵심은 인플레이션을 원하는 세력과 원치않는 세력중에 | |||||||||
어느쪽이 강한가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인플레이션에 관한한 선진국형에 속한다. | |||||||||
(2) 현재는 부채비율이 낮아짐. 현금보유량을 늘리고 있음
|
|||||||||
2. 대한민국 재벌은 인플레이션을 원할까?
|
|||||||||
1) 한국의 금융자본 | |||||||||
(1) 1998년 이후 금융시장 개방-> 외국인 주주 -> 관치금융에서 벗어남 | |||||||||
(2) 1998년 이후 자유변동환율제 채책 -> 환율의 변동폭이 심해짐 | |||||||||
이는 채권시장 자경단의 활동이 가능한 나라가 되었다
|
|||||||||
2) 대한민국에서 일어났던 하이퍼인플레이션 | |||||||||
(1) 1987~1991 : 높은 물가상승률과 주택가격 상승 지속. 금리상승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잡혀야 하지만 | |||||||||
계속 오름. 이것은 특권 계층이 시중금리의 적용을 받지 않고 특혜금리로 불공정한 대출을 받았다 | |||||||||
(2) IMF상황 : 환율폭등 -> 물가크게 상승 -> 금리상승 -> 대출감소 -> 통화량 감소 | |||||||||
-> 주택가격 폭락(인플레이션의 역설) 이것이 정상적인 상황이다 | |||||||||
(2) 1998년~2010년은 보통의 인플레이션 기간이지만, 주택가격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의 역설이 일어남 | |||||||||
(3) 하이퍼인플레이션의 특징 | |||||||||
=> 일반 인플레이션과는 달리 특혜대출을 통한 통화팽창(자금지원)의 불공정성이 그 특징이다 | |||||||||
=> 특권그룹에게만 특혜금리로 거액의 대출을 해주어 부동산을 사들이게 하고 그렇게 해서 풀려나간 | |||||||||
돈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국가의 부가 특권그룹에게 이전된다 | |||||||||
(4) 인플레이션의 역설 | |||||||||
환율폭등-> 물가상승-> 금리상승 -> 대출감소 -> 통화량 감소 -> 주택가격 폭락 | |||||||||
(5) 또한 우리나라는 남북한 체제대결 상황 때문에 막장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가는 상황은 방지된셈이다. | |||||||||
- 1973년 위기와 전두환 정부시절 1981년
|
|||||||||
3) 신군부 시절의 재벌과 부동산 | |||||||||
(1) 통화팽창이 물가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나타나는데 1년~1년반 정도의 시차 존재 | |||||||||
(2) 전두환 시절 물가안정과 집값안정을 이루었지만 1998년 집값이 20%이상 상승한 것은 전두환정권 후반 | |||||||||
통화팽창이 그 원인이다 | |||||||||
(3) 1990년 재벌들의 부동산 매각조치. 재벌이 부동산을 매각하는 동안 아파트가격은 30% 정도 상승 | |||||||||
(4) 노태우정부시설 재벌은 보유부동산을 고가로 매각하고 매각이 끝나고 부동산 상승그쳤고, 부동산 하락함.
| |||||||||
4) 1998년의 경제위기가 모든것을 바꾸어 놓다 | |||||||||
(1) 1998년 이전에는 수출대기업들(부채형기업)이 케인즈가 지적했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정책을 실시 | |||||||||
하도록 막각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던 채무자 그룹 | |||||||||
(2) 1998년 경제위기를 계기로 부채형기업 -> 사업형 기업으로 바뀜 -> | |||||||||
수출호황 -> 대기업들은 사업흑자-> 이익유보금이 쌓이고 -> 기업이 가계보다 훨씬 더 저축을 많이 함 | |||||||||
(3) 지금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면 기업들(자본)이 손해를 보고, 가계가 이익을 보게된다 | |||||||||
따라서 국내의 재벌기업들의 인플레이션을 원할리가 만무하다 | |||||||||
이제 한국 재벌 스스로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원하지 않게 되었다. 이것이 IMF의 최대 공적이다 | |||||||||
(4) 유로존과 미국 : 내수경제위주, 환율조절이 어렵다. 저금리 정책 | |||||||||
(4) 한국 : IMF기간동안 수출위주 국가(고금리, 고환율) | |||||||||
수출로 내수부진을 Cover할수 있었다. | |||||||||
기업들이 사업수행 통해 자본축적-> 기업의 자금수요 감소 -> 저금리추세정착->기업자금 수요 감소 | |||||||||
-> 재벌들이 대출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중은행들이 가계를 상대로 대출영업 | |||||||||
-> 1998년 이후 가계에 대출은 권하는 사회로 바뀜(1998년 이후 M2증가율이 차이가 나는 이유) | |||||||||
-> 2003년 이후에는 물가가 오르지 않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다. 이는 2000년대에는 | |||||||||
재벌계열 건설사들이 아파트를 분양해서 돈을 벌기위해 아파트 가격이 오른것 | |||||||||
-> 중산층들에게 대출을 마음껏 제공함으로서 재벌들이 건설한 아파트를 매입하도록 권유 | |||||||||
이제는 중산층들이 부채와 부동산을 잔뜩 보유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 |||||||||
(5) 중상층이 부채와 부동산을 소유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부동산이 오를 이유가 없다 | |||||||||
부동산이 오른다면 더 이상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는 재벌기업들에게 큰 손해가 되기 때문이다 | |||||||||
-> 경제학은 탐욕의 동기가 매우 끈질기고 강력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경제학의 명제가 맞는 것이라면 | |||||||||
한국의 재벌들은 계속해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할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
|||||||||
5) 자본주의가 부동산 투자를 환영할까? | |||||||||
(1) 자본주의 체제는 분명 자본(건설사)의 이익을 위해서 돌아가는 것 | |||||||||
부동산투자자들(중산층)의 이익을 위해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
|||||||||
6) 경제위기가 닥치면 재벌들이 인플레이션을 원할까? | |||||||||
(1) 한국에는 환율폭등이 나타나긴 하겠지만 물가상승률은 어느정도 선에서 멈출것이다 | |||||||||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다 | |||||||||
(2)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반대하는 이유는 | |||||||||
① 인플레 지속시 급여 상승,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 | |||||||||
② 두 기업의 부채비율이 너무 낮다. 현 상태에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 두 기업은 부채형 | |||||||||
기업들에게 밀리는 결과 | |||||||||
=> 삼성과 현대가 현재 한국의 주도세력이므로 이제 한국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이어질 가능성은 없다 | |||||||||
=> 환율폭등이 일어나더라고 일정한 폭등기를 지나면 서서히 안정을 찾아갈것이다. 그 결과 아직까지 | |||||||||
남아있는 부채형 기업들은 몰락의 길을 걷게 될것이다 | |||||||||
(3)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부채비율을 급격히 늘린다면 인플레이션이 닥칠 가능성이 100%로 높아진다.
| |||||||||
3. 한국 중산층의 생존대책
|
|||||||||
(1) 기본 :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 부자와 현대차 정몽구 회장 부자를 따라하면 된다 | |||||||||
(2)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온다면 미국 달러에 투자하면 된다 | |||||||||
(3) 하이퍼인플레이션 발생시 최고의 수익을 달성하는 것은 기축통화이다 | |||||||||
(4) 1920년대 독일에서는 물건을 구입하였지만, 1980년대 남미는 기축통화인 달러를 바꾸는 것이 최고였다 | |||||||||
모두가 달러를 원했기 때문에 모든 투자대상중에서 달러의 가격상승률이 최고 였다 |
|||||||||
(5) 외환거래가 자유화된 나라에서는 사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불가능하다. 대중들이 외환거래를 통해 | |||||||||
그 위험을 즉시 회피할수 있기 때문에 정부든 어느 기득권층이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통해 대중들로부터 | |||||||||
이익을 짜내는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환거래의 자율성(선물환투자등)이 지속되는 여부는 | |||||||||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한 지표로 삼을수 있다(외환거래 창구 폐쇄 징후 등)
|
|||||||||
1) 인플레이션의 역설을 명심하자 | |||||||||
(1) 물가가 높게 상승하면 자산가격은 오히려 상승하지 못한다. 물가가 많은 오르지 않는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상황에서 아파트가격이 올랐다(1999~2000) | |||||||||
(2) 번스타인(월스트리트로간 경제학자) | |||||||||
- 인플레이션 징후가 보이면 대중의 통념과는 달리 주식을 매수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도해야 한다 | |||||||||
(3) 빌그로스(1998) | |||||||||
- 투자자들은 지난 15년동안 주식과 채권시장의 호황이 무엇보다 인플레이션이 | |||||||||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Disinflation) | |||||||||
(4) 대중은 속아줘야 한다. 언론에 나오는 부동산 전문가들은 항상 아파트가격이 오를것이라고 얘기한다 | |||||||||
무엇이던 갖다붙일 핑계가 필요하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은 상승의 논리로 그럴듯해 보인다 | |||||||||
(5) 인플레이션의 역설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 |||||||||
- 이자율이 시장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 그에 따라 통화량의 증감 역시 시장의 원리에 따라 제대로 규율되기 때문 | |||||||||
-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금리가 오르게 되고 아파트 가격이 더 폭락하게 된다. | |||||||||
즉 스태그플레이션(불황에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면 그 때문에 주식과 | |||||||||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폭락하게 된다
|
|||||||||
2) 이제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할때 | |||||||||
(1)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면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계층은 중산층이다 | |||||||||
(2) 승자는 당연히 산업재벌인 대기업이다 | |||||||||
(2) 한국의 중산층들은 잘못된 착각때문에 인플레이션을 갈망하고 있다 |
착각의 경제학 : 제 4 장 국가부채의 역설 (0) | 2015.01.27 |
---|---|
●●●●●● 착각의 경제학 : 제 3 장 대한민국에서 자산투자에 성공하는 요령, (0) | 2015.01.24 |
<< 착각의 경제학 : 제 1 장 자본주의에 대한 오해 >> (0) | 2015.01.24 |
★★★<< 최진기의 2015년 한국은 위기일까?| >> (0) | 2015.01.22 |
★★★<<<일본경제를 알면 한국 미래가 보인다 : 한국은행>>> (0) | 201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