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제작자들이 '미생'에서 배워야할 몇 가지
출처 엔터미디어작성 정덕현입력 2014.12.10 13:01
[엔터미디어=정덕현의 이슈공감] 요즘 지상파 드라마 관계자들을 만나면 한결 같이 나오는 얘기가 <미생>을 놓친 것에 대한 아쉬움이다. 이미 밝혀진 것처럼 <미생>은 지상파에 모두 제안되었다가 결국 tvN에서 리메이크된 작품이다.
지상파 관계자들은 이때만 해도 과연 그게 드라마로도 성공할까 하는 의구심이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이미 대성공을 거둔 <미생>을 놓친 것에 대해 지금은 후회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미생>의 성과는 단지 한 드라마의 성취에 머물지 않는다.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 제작자들이 해왔던 관습적인 접근을 대부분 깬 데서 나온 성과이기 때문이다. <미생>을 통해 배워야할 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 첫 번째는 '멜로 없이도 된다'는 것이다. 애초에 <미생>이 지상파에서 제작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멜로의 부재' 때문이었다. 지상파 관계자들은 모두 하나같이 멜로를 넣어달라고 주문했지만 "멜로 없이 해달라"는 윤태호 작가의 강력한 요구사항이 있었기 때문에 그걸 수락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저 <노다메 칸타빌레>를 리메이크했다가 실패한 <내일도 칸타빌레>를 보라. 그만큼 원작의 무게감은 리메이크에게는 짐이 되는 법이다.
하지만 <미생>은 원작과는 또 다른 재미를 선사했다고 평가받았다. 그것은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다기보다는(물론 약간 다른 내용들이 있지만), 드라마적인 극적 구성을 강화했다고 보는 편이 낫다.
이 극적 구성 때문에 웹툰이 가진 마치 바둑을 두는 듯한 지적인 흐름은 감정선이 묻어나는 장면들로 보여질 수 있었다. 같은 내용도 어떻게 연출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걸 <미생>은 실증해보인 것.
따라서 지상파가 <미생>에 멜로를 요구한 것은 기획적인 패착이 아니라 바로 이런 플랫폼적인 특성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즉 플랫폼에 끼워 맞추는 콘텐츠가 자칫 바로 그 점 때문에 실패할 수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플랫폼보다 우선되는 것이 콘텐츠라는 점이다. 콘텐츠가 먼저 완성되고 거기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한 <미생>은 그래서 드라마 제작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지막으로 <미생>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었던 것은 '미 발굴된 얼굴들이 오히려 낫던' 이 드라마의 캐스팅이다. 김대명, 변요한, 박해준, 류태호, 김희원, 손종학, 정희태, 최귀화, 전석호, 오민석, 태인호, 황석정, 이승준... 우리는 <미생>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무수한 배우들이 이토록 많다는 걸 이 작품을 통해 깨달았다.
지상파 드라마에서 봤던 얼굴들이 여기저기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것과는 사뭇 대조적인 그림이다.
이장석 넥센 대표 “해외진출, 다음은 박병호다" (0) | 2015.01.21 |
---|---|
극과 극 1988 서울 vs 2018 평창 (0) | 2015.01.21 |
어제 뭐 봤어? '미생', 돌을 잃어도 게임은 계속된다 (0) | 2014.12.07 |
'야신(野神)' 김성근감독과 사회 지도자의 책임 (0) | 2014.12.07 |
<<< 23살 시골청년 동식이도 띄우는 '삼시세끼' 저력 >>> (0) | 201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