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접경지역 투자해볼까..
연천읍 토지 3.3㎡당 14만원 수준
매경이코노미 | 입력 2014.03.31 09:33
북한 정세가 급변하고 우리 정부도 통일에 대한 비전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통일 이후 수혜 부동산이 어디일지 관심이다.
"최전방 DMZ(비무장지대)나 민간인출입통제선 안쪽 지역 땅에 투자를 해놓으면 차후에 대박이 날 것이다." "경기도 어느 곳에 부동산 투자하면 좋겠냐고 자산가들이 물으면 두말하지 않고 경기 북부지역을 추천한다.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앞으로 통일시대를 대비해 DMZ 지역에 투자하면 큰 이익을 볼 것이다." 언뜻 듣기에 부동산 투기를 조장하는 멘트 같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나 중개업자가 아닌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공식석상에서 한 말이다. 낙후된 경기 북부지역에 대한 김문수 도지사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 김 지사는 "요즘 경기 북부가 복덕방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정부가 '통일대박론'을 내세우면서 강원, 경기 북부 토지 투자 관심이 높아졌다.
실제 경기도는 도로·철도 예산의 52%를 파주 등 경기 북부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통일이 되면 중국·러시아 시베리아·유럽으로 가는 고속철도 등이 모두 경기 북부를 거쳐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문수 도지사의 DMZ 일대 투자 권유 발언이 나오면서 철원·연천·포천 등 DMZ 일대 중개업소마다 요즘 투자 문의가 늘고 있다.
지금은 DMZ 일원이 철조망으로 둘러쳐져 있지만 앞으로는 남북교류 협력의 중심지로 바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성사로 머잖아 남북교류가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투자 붐에 한몫했다.
현재 DMZ 지역 땅의 대부분 소유자는 개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은 거래가 뜸하지만 남북관계가 호전되고 분위기가 무르익는다면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져 거래가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
경기 도로·철도 예산 52% 북부지역에 北 주민 대상 도심 소형 아파트 유망
통일시대에 대비한 부동산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아파트의 경우 서울을 비롯해 부산, 대구 등 주요 광역시 소형 아파트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통일이 되면 북한 주민이 남한으로 대거 유입돼 인구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투자 부담이 큰 대형 아파트 인기는 하락하고 외곽지역의 값싼 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도시 근로자를 위한 소형 아파트 시세 상승이 예상되는 이유다.
남북교역 중심지로 떠오를 강원, 경기 북부 토지도 유망해 보인다. 이 일대 토지 중 개발 가능성이 높은 연천, 포천, 철원 일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4750㎡(1437평) 토지의 경우 매매가 2억원에 거래된다. 3.3㎡당 14만원 수준이다. 다만 위치, 용도에 따라 3.3㎡당 100만원을 넘는 물건도 종종 있다.
토지에 투자할 때는 인근 지역 땅값과 철저히 비교하고 토지 용도와 개발 가능성을 따져봐야 한다. 이때 대출을 안고 투자하는 것은 금물이다. 땅은 환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금액, 보유기간 등을 감안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와 함께 토지 용도와 필지 형태를 따져보고 개발 가치가 충분한지 현장 확인과 가격 검증을 거칠 필요가 있다.
상가 투자의 경우 북한 사람들이 도시로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이 주로 거주할 지역의 상권이 대상이다. 업종별로는 편의점 등 생활밀착형 점포가 인기를 끌 전망이다. 레저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강원도 일대 레저형 부동산도 주목을 받을 수 있다.
반면 남한지역에 소유한 대규모 임야는 처분하는 게 나을 수도 있겠다. 통일 이후 북한지역 임야가 대규모 개발되면 상대적으로 남한 임야 가치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통일 후 부동산 상승 랠리가 예상보다 길지 않을 수 있다. 독일에선 통일 초기 부동산 경기가 과열됐다가 1990년대 중반부터는 오히려 주택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다. 각종 인프라가 어느 정도 갖춰지고 나서부터는 부동산보다 주식이 인기를 끌었다. 과거 DJ정부가 햇볕정책을 펼쳤을 때도 휴전선 인접 지역에 땅을 사둔 사람들이 있었지만 기대했던 만큼 땅값이 오르지 않았다.
[장경철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 / 사진 : 윤관식 기자]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750호(03.26~04.01일자)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