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최악의 자해' 트럼프 직격한 옐런…"美 국채 투매에 관세 유예"

월가·월스트리트

by 21세기 나의조국 2025. 4. 11. 11:27

본문

'최악의 자해' 트럼프 직격한 옐런…"美 국채 투매에 관세 유예"

뉴욕(미국)=권해영2025. 4. 11. 04:35
 
 
퇴임 후 CNN과 첫 언론 인터뷰
"대중 관세, 美·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최악의 자해 행위"라고 직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효를 전격 유예한 결정적인 배경으로는 최근 국채 금리 이상 급등으로 인한 금융 시장 불안을 지목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옐런 전 장관은 10일(현지시간) CNN 방송과 퇴임 후 첫 언론 인터뷰를 갖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지금까지 역대 행정부 중 이렇게 잘 돌아가던 경제를 스스로 망가뜨린 경우는 본 적이 없다"며 "이건 최악의 자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옐런 전 장관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사령탑으로, 올해 초 바이든 전 대통령 퇴임과 동시에 재무장관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결정에 대해 "안도감을 줬다"면서도 "미국과 세계 경제는 엄청난 보호무역주의의 충격으로 고통을 겪었다"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상호관세 전면 발효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을 상대로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추가 관세 발효는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대중 관세는 상호관세율 125%에, 펜타닐(마약성 진통제) 단속 미비로 기존에 부과한 20%의 관세를 합쳐 총 145%로 상향했다.

 

옐런 전 장관은 상호관세 유예 배경과 관련해 "미 국채를 보유한 고(高) 레버리지 헤지펀드들이 보유자산을 매도하기 시작했고, 미 국채 대량 매도는 금융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요인"이라며 "내가 알기로는 이 문제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중단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분명히 우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금융 시장에서는 세계 최고 안전 자산인 미 국채 투매 현상이 발생했다. 대규모 국채 매도로 가격이 하락(=국채 금리 상승)하자 국채를 담보로 자금을 융통한 거래의 청산 압력이 커졌고 유동성 고갈 및 금융 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국채 금리 상승은 또 미국 정부의 이자 부담 가중, 각종 대출 금리 상승으로 직결돼 정부, 가계, 기업 모두에 타격을 입힌다. 전날 상호관세 전격 유예 조치에도 미 국채 대량 매도는 장기물 중심으로 지속되고 있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현재 8bp(1bp=0.01%포인트) 뛴 4.87%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옐런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가구의 평균 비용이 연간 4000달러(약 580만원) 상승하고, 경기 침체에 빠질 확률이 높아졌다고 봤다.

 

또한 상호관세가 폐기되더라도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93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미국은 1934년 상호무역협정법을 제정해 관세를 낮춰 왔다. 4년 전인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시행으로 관세율이 평균 25%에서 40%로 높아진 뒤 대공황이 심화된 데 따른 정책 변화였다.

 

아울러 옐런 전 장관은 대중 관세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초고율 관세가 "미국과 글로벌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 정책들이 어디로 향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