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치성향 막론하고 응답자 83%가 “국민분열 심화됐다” [심층기획-윤석열정부 1년]

정치·사회

by 21세기 나의조국 2023. 5. 11. 14:17

본문

정치성향 막론하고 응답자 83%가 “국민분열 심화됐다” [심층기획-윤석열정부 1년]

박지원입력 2023. 5. 8. 18:09
 
 
챗GPT로 본 1년
협치·소통
보수층 “野 대표 바뀌어야 협치 가능”
진보선 “尹 의지부족·당무개입탓” 비판
“與野 다 싫어… 내년 총선 3지대 기대”
외교·안보
尹 대북강경책 보수·중도보수서 긍정
대일·대미 저자세외교 진보층서 비판
중도 “펠로시 패싱·美 도청 대응 미흡”
경제·노동
양극단 제외 경제정책 평가는 유보적
중도 “연금개혁 긍정적… 방향성 모호”
보수·진보 ‘주 69시간제’ 시각차 현격

“윤석열정부의 정책이 공정·상식에 기반 두고 있으며 국민 통합과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보수)

 

“공약과 달리 정부가 분열을 부추기고 증오와 극단주의가 확산하는 것을 방치하는 것처럼 보인다.”(진보)
 

 

윤석열 대통령. 뉴스1
 
8일 세계일보와 정치플랫폼 옥소폴리틱스가 공동으로 지난달 24일부터 29일까지 6일에 걸쳐 실시한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 평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 취임 후 지난 1년간 국민이 통합됐는지 분열됐는지를 묻는 말에 응답자 530명 중 83%인 445명은 “분열이 심화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을 보수·중도보수·중도·중도진보·진보의 5개 정치성향별로 분류해 봤을 때 분열이 심화했다는 응답은 각각 98.4%, 93.1%, 82.8%, 66.0%, 72.5%로 정도의 차이가 상당하기는 했지만 모든 성향에서 국민 분열이 심화했다는 응답이 과반을 훌쩍 넘겼다.
 

단순히 응답 결과의 숫자만을 놓고 보면 응답자들이 성향에 무관하게 비슷한 생각에 동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응답자들이 자신의 언어로 의사 표현을 한 댓글들을 들여다보면 똑같이 분열이 심화했다고 답한 경우라도 진보는 분열의 원인을 정부·여당으로, 보수는 야당이나 외부요인으로 보는 전혀 다른 생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단순히 숫자만으로 말할 수 없는 국민의 복잡다단한 평가를 들어보기 위해 세계일보는 정치 커뮤니티 플랫폼 옥소폴리틱스와의 협업을 통해 이번 설문조사에 달린 댓글 461개를 수집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 챗GPT(GPT-4)에 전수 분석을 맡겼다. 윤 정부 출범 후 지난 1년간 우리 사회는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이 같은 변화를 우리 국민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분야별 평가를 챗GPT를 통해 분석·정리했다.
 
◆정치분야 ‘제3지대 필요성’ 공감
 

공약 수행과 정치 부문에서 응답자들은 윤 대통령의 협치 의지가 부족하다는 데에 전반적으로 동의했다. 다만 진보성향 응답자들은 윤 대통령의 협치 의지 부족과 여당 당무 개입 논란을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한 반면, 보수성향 응답자들은 “대통령이 협치 의지가 없다는 비판에는 동의하지만 야당 대표부터 바뀌어야 협치가 가능하다”고 야당 책임을 더 크게 봤다.

 

중도층 생각은 “일부 정책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당무 개입 등 공정·상식에 어긋난 행동들은 냉소적으로 보고 있다”는 문장으로 정리됐다. 챗GPT는 중도층의 윤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어 윤 대통령의 앞으로의 행보와 정치적 결정에 따라 중도층의 반응은 지속해서 변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총선에서 ‘정권 안정’과 ‘정권 견제’ 중 어떤 결과가 나와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말에는 정치성향을 막론하고 “제3의 선택지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다수 나왔다.

 

보수와 중도보수 성향 응답자들의 반응은 각각 “대통령뿐 아니라 여야 모두 마음에 들지 않는다”, “제3지대 정당이 출현하길 바란다”는 표현으로 정리됐다. 중도성향 응답자들도 “다음 총선에서 여야 모두에게 표를 주고 싶지 않아 고민된다”고 했고, 진보성향에서도 “거대 양당에 대해 실망했다. 제3의 선택지를 원한다”는 답이 나왔다. 중도진보 성향 응답자들만 “내년 총선에서 야당이 정부를 견제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 정부가 국민이 반대하는 정책을 마음대로 밀어붙이지 않도록 조절해야 한다”고 했다.
 

 

용산 대통령실. 연합뉴스
 
◆극명하게 갈린 외교·안보 평가
 

외교·안보 부문은 윤 정부 1년에 대한 평가가 가장 첨예하게 갈린 분야였다. 보수와 중도보수 성향 응답자들은 윤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북·통일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가 이어졌다. 보수 응답자들은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 지원 및 대화에 반대하고 북한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지지한다”고 했다. 한·일 관계에 있어서도 “우리가 만족할 만한 사과와 배상은 아니지만, 일본은 사과와 배상을 이미 했다고 보며 과거 문제를 계속해서 끌어올리는 것은 한·일 관계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답했다. 중도보수 응답자들의 평가도 “대북 정책에서 북한이 먼저 비핵화를 이루기 전까지는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노선을 지지하며, 미국·일본과의 관계 우선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라고 분석됐다.

 

반대로 진보와 중도진보층은 현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대체로 비판하는 입장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미국에 저자세라는 점에 대한 비판이 강했다. 진보층은 윤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해 “한·일 관계에서는 사과하지 않는 일본을 상대로 저자세를 취했고 한·미 관계에서도 미국과의 동맹 강화에 치중하다가 주권침해로 볼 수 있는 도청에 대한 유감조차 표현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중도진보층도 “일본과의 관계에서 윤 대통령이 너무 많은 양보를 했고 미국의 대통령실 도청 의혹에 대한 대응이 부적절했다. 북한과의 관계에서는 지속적인 대화 시도가 필요하다”고 평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도층에서는 “북한에 퍼주는 대북 정책을 지양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한·일 관계에선 외교 줄다리기에 실패해 일본에 일방적으로 양보한 것으로 보이고, 미국 관련 외교에서는 낸시 펠로시 패싱·‘날리면’ 사태·도청 의혹 등 사안에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며 대북 정책에서는 긍정평가, 미국·일본과의 관계에는 부정평가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경제정책 ‘평가유보’·노동정책 ‘이념대결’
 

경제 부문에서는 양극단을 제외하고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는 유보적 입장이 드러났다. 중도보수·중도·중도진보층의 답변에 대해 챗GPT는 공통되게 전반적으로 ‘아직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중도층은 “1가구 2주택 (중과세) 유예제에 긍정적이나 부동산 가격 하락은 정부 성과가 아닌 외부요인에 따른 결과라고 본다. 연금개혁을 진행하려는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향성을 볼 수 없어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다”라고 답해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뒤섞인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 부문에서는 노동정책에 대한 평가가 크게 엇갈렸다. 보수성향 응답자들과 중도보수 성향 응답자들은 각각 “노조 대응·주 69시간제 등 현 정부의 노동정책에 대체로 긍정적이다”, “노조에 대한 윤 정부의 강경한 대응에 긍정적이다. 주 69시간제는 근무시간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정책인데 잘못된 프레임에 의해 심한 반발을 받았다고 본다”고 답한 것으로 분석됐다.

 

진보성향 응답자들은 “현 정부가 노조를 엄하게 대하는 만큼 부정한 기업도 엄정하게 다뤄야 한다”며 윤 정부의 노조 대응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중도진보층은 69시간제 등 노동정책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중도성향 응답자들 역시 노동정책과 관련해 “윤 정부가 노조 자체를 적대시하고 대화 자체를 거부하는 것 같아 아쉽다. 노동시간 정책에도 불만이 많다”는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챗GPT는 분석했다.
 

 

서울 종로구 청와대 본관을 시민들이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 이전 및 청와대 개방과 관련해서는 청와대 활용에 대한 의견이 뚜렷이 갈렸다. 보수와 중도보수 응답자들에게서는 청와대를 문화공간 등으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두드러졌고 진보와 중도진보 응답자들은 대통령실 이전은 물론 이후 청와대 활용에 부정적이었다.
 

중도층의 의견은 “대통령실 이전을 비판적으로 보지만 지금 와서 청와대로 다시 돌아갈 순 없다. 다음 정권에선 세종시로 집무실을 옮겨야 한다”는 말로 정리됐다.

 

박지원·조병욱·김승환·유지혜·김병관·배민영·김현우·최우석 기자 g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