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한 인도 중앙은행
어제(7일)에 열렸던 통화정책회의에서 인도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25bp 인하한 6.25%로 결정했다. 6명 중 4명의 위원이 금리 인하에 찬성했으며 중앙은행 총재인 샤크티칸타 다스 역시 금리 인하에 표를 던졌다. 그리고 만장일치로 통화정책 기조 역시 ‘세밀한 긴축(calibrated tightening)’에서 ‘중립(neutral)’으로 변경했다.
또한 인도 중앙은행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하향조정했다. 올해 1~3월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2.8%로 낮췄으며 4~9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2~3.4%로 하향했다. 이는 지난 12월 통화정책회의에서 발표한 전망치보다 60bp 하향조정된 것이다.
그리고 2019년 GDP 성장률 전망치는 7.4%로 제시했다. 이는 통계청(CSO)이 발표한 작년 GDP 성장률을 0.2%p 상회한 것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는 인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인하의 이유는 물가상승압력 둔화뿐만이 아니다
인도 중앙은행이 시장의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정책금리를 인하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소비자물가상승률 둔화세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목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4%±2%이지만 지난 1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19%를 기록하면서 18개월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그리고 중앙은행은 성명서를 통해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그리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언급했다. 그 이유로는 식료품 가격의 하락세, 연료 가격의 안정화, 제한적인 유가 급등 가능성, 가계의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에 따른 결정만은 아니다. 오는 4~5월에 있을 총선을 앞두고 경기를 부양하고자 하는 모디 총리의 의지가 일정 부분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모디 총리는 작년부터 경기부양을 위해 금융제재 완화와 금리 인하를 요구해왔다. 이로 인해 중앙은행의 독립성 침해 이슈가 부각되면서 작년 12월 우르지트 파텔 전 중앙은행 총재가 사퇴했다. 그리고 이번 통화정책회의는 모디 총리가 임명한 행정부 출신인 다스 총재가 처음으로 주재하는 회의였다.
다음 통화정책회의가 총선이 실시되는 4월에 있음을 감안했을 때 모디 총리 입장에서는 금리를 인하하고 이에 따른 효과가 총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특히 지난 12월에 발표된 주 의회 선거 결과에서 여당인 BJP가 텃밭에서 패배하면서 총선 승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다만 추가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확인해야 할 것이 두 가지가 있다. 2%대에 머물고 있는 소비자물가상승률과는 달리 근원소비자물가상승률은 5~6%대에 머물고 있다. 인도 중앙은행은 이것이 헬스케어 및 교육 관련 물가 상승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그리고 정부가 지난 1일에 농가에 대한 보조금과 중산층 세금 감면 정책을 포함한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재정지출 확대가 불가피해졌다. GDP 대비 재정적자 역시 3.3%에서 3.4%로 상향조정 되었다. 이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 역시 향후에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모디 총리가 이처럼 총선을 앞두고 경기 부양에 집중하면서 당분간 인도 증시의 하방경직성은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IL&FS의 디폴트 이후 타이트해졌던 유동성이 일부분 완화될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추가 상승탄력이 그다지 강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다른 신흥국들과는 달리 센섹스 지수의 12MF PER이 지난 5년 평균치를 +2 표준편차만큼 상회하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남아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