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당국이 P2P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에 들어가면서 올해만 330개사의 P2P대출업체가 도산했다. 사진은 2015년 P2P대출업체 이주바오(e租寶)가 100만명의 투자자에게 500억위안의 피해를 입혔을 대 투자자들이 시위에 나선 모습. [사진=AFP제공] |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광장에서 서쪽으로 약 3km 떨어진 금융가에는 7일 오전 삼엄한 경비가 깔렸다.
공안차가 금융감독당국을 둘러싸고 대형 버스 안에는 공안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6일 개인간(P2P·Peer to Peer)대출 투자자들이 모여 시위를 계획하자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경비 태세에 들어간 것이다. 외국계 투자은행에 다니고 있는 20대 남성은 “공안차들이 도로에 쫙 깔려 엄청난 혼란이 빚어졌다. 조용한 금융가에 이런 사태는 본적도 없다”고 말했다. 저장성 항저우시에서도 지난달 P2P 투자자가 모여 시위를 계획하는 등 투자금을 되찾지 못하는 피해자들의 집단행위는 확산되고 있다. 닛케이신문은 중국에서 P2P 대출업체가 줄도산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대출을 해주는 P2P대출업계는 편의성과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에 힘입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핀테크 사업’을 육성하겠다는 목표 아래 중국 당국이 P2P업체의 난립을 묵인해 온 것 역시 한 원인이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핀테크 정책 방향을 ‘육성’에서 ‘관리’로 바꾸고 있다. 중국에서 총리가 매년 3월에 내놓는 정부업무보고에는 올해 처음 “인터넷금융 등에 대한 감독관리를 보완하겠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올해만 하더라도 약 330개사가 줄도산해 채무불이행 금액만 적어도 300억위안(4조 9119억원)에 달한다. ‘3년에 걸쳐 투자금을 상환하겠다’고 약속하는 업체는 제외한 수치다.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돈을 갚을지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향후 피해액은 커질 수밖에 없다.
주로 부유층들이 투자하는 ‘신탁상품’이나 ‘자산관리계획’에도 원금만 돌려주는 연체가 속출하고 있다. 닛케이는 “이미 채무불이행 금액은 120억위안에 달한다”며 “올해 채무불이행 금액은 2017년(10억~20억위안)과 비교해 불과 반년 만에 10배까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주로 개인 채무자에게 빌려주는 P2P대출상품과는 달리 신탁상품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나 회사채 등 기업들에게 투자하는 것이다. 이 중 채무불이행에 빠진 3억엔 규모의 한 신탁상품은 안후이성(安徽省)의 국유기업이 원리금을 보장하기로 한 상품이었다. 정부가 보증하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고 설명을 들은 개인투자자로서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같은 일이다.
국유기업이 관여하는 투자상품조차 채무불이행에 빠진 것은 시진핑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채 감축(디레버레이징) 기조와 관련이 깊다. 중국 금융당국은 P2P업체의 대출자금이 한계기업에 흘러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일부 P2P업체의 경우 사기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어 현재 1조위안 규모의 P2P시장을 구조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P2P대출업체 80%는 투자자로부터 받은 대출자금과 회사 운영자금을 분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영업상황이 건전한 P2P업체는 약 1700개사 정도로 2년 전과 비교해 절반이 줄었다. 올해 말에는 이 숫자가 1000개사 정도로 줄어들 전망이다.
7월 말까지 회사채 채무불이행은 340억위안을 넘어서 과거 최고치였던 2016년(약 400억위안)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회사채와 신탁회사, P2P대출 상품까지 합하면 채무불이행 금액은 약 800억위안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신문은 “채무불이행 금액의 급격한 증가는 막대한 손해를 입은 투자자들의 투자 의욕을 꺾을 뿐만 아니라 중국 신용사회 전체의 리스크를 증가시키고 있다”며 “최근 중국 주가가 나쁜 것 역시 이같은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