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인시 기흥구 A아파트의 '빈집 쇼크'

부동산

by 21세기 나의조국 2017. 1. 4. 11:47

본문




용인시 기흥구 A아파트의 '빈집 쇼크'          

세일러 | 조회 4501 |추천 15 |2017.01.03. 10:52 http://cafe.daum.net/urifuture/XoBd/48 

                 



아래 기사를 보니, 우리나라의 전국 빈집이 이미 지난 2015년 말에 106만9000가구나 되는군요. 어느 새 이렇게 늘었나 싶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A아파트는 입주한 지 6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세 집 중 한 곳이 비어 있다” 

이 대목을 주목하게 되는데요, 


언론 기사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미 경기도 용인시에서 '빈집 쇼크'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제 더 이상 '빈집 쇼크'를 일본의 일로만 생각할 때가 아닌 듯 합니다.


예를 들어 용인의 저 아파트 단지는 '관리비'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혹시 이 아파트의 현황을 아시는 분이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3만 입주했어도 엘리베이터는 가동해야 합니다. 

이 말은 엘리베이터 운행비 부담이 입주 세대들에게 가중된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되면 저 아파트 단지에 있는 기존 세입자들은 비싼 관리비 때문에 가급적 빠져나가려 할테고, 잠재 세입자들은 저 아파트 단지를 회피할 것입니다. 


결국 저 아파트 단지 입주자들은 점점 줄어들테고, 관리비 부담은 점점 가중될 것입니다. 

그러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동양보다 아파트의 역사가 오래된 프랑스 파리의 경우를 보면, 아파트 단지의 엘리베이터 운행을 중단하게 됩니다. 

세입자들이 도저히 엘리베이터 운행비를 부담할 수 없는 지경이 되기 때문입니다.


고층에 사는 노인들의 경우 짐을 들고 걸어올라갈 수 없는 문제가 당연히 발생합니다.


이를 위해 국가(또는 파리시)에서 공공 근로자를 투입해서 노인의 짐을 들어 고층까지 운반해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쪽이 엘리베이터 운행비보다는 비용이 적게 드는 모양입니다.


저는 용인시 기흥구 A아파트가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지속적으로 관찰했으면 합니다. 

이 아파트 단지는 우리나라 아파트의 미래가 어떻게 될 지를 보여주는 풍향계 같다고나 할까요?...

우리 우미연의 여러 회원님들이 힘을 합쳐서 같이 관찰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이 일에 자원해주실 분이 혹시 계실까요?


우선 이 아파트 단지가 어느 아파트인지부터 알아야겠지요. 아시는 분이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50년엔 300만채가 '텅'… 전체 가구의 10%가 빈집

"공급서 관리로 정책 바꿔야"



전국 빈집(2015년 말 기준)이 106만9000가구로, 사상 처음 100만 가구를 넘어섰다. 국내 빈집 수는 2035년엔 148만 가구, 2050년에는 전체 가구의 10%인 302만 가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발표됐다. 우리나라도 저출산과 고령화 여파로 빈집이 급증해 사회문제가 된 일본의 전철을 그대로 따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5년 전국 빈집 수는 2010년 전보다 25만 가구 늘어난 106만9000가구로 집계됐다. 전체 주택(1636만7000가구)의 6.5% 수준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국내 인구주택총조사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50년 국내 전체 주택은 2998만 가구로, 주택 보급률이 140%에 달하고 전체 주택의 10.1%인 302만 가구가 빈집으로 남을 것으로 예측됐다"고 2일 밝혔다.

LX 예측에 따르면, 2050년 강원(23.2%)과 전남(25.4%)은 인구 감소로 네 집 중 한 집에 사람이 살지 않는다. 도심 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2015년 7만9000가구였던 서울의 빈집은 2050년엔 31만 가구로 급증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저출산과 고령화, 주택 과잉 공급이 겹치면서 일본식의 '빈집 쇼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조기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 기준으로 빈집이 전체 주택의 13.5%(820만 가구)까지 증가했다. 도쿄도 전체 주택의 11%가 넘는 81만7000가구가 빈집이다. 일본 정부는 2015년 '공가대책특별조치법'을 만들어 화재 위험이 높고 범죄의 온상이 되는 빈집에 대해 지자체가 철거 등 행정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했다. 조윤숙 LX국토정보교육원 교수실장은 "앞으로 정부가 주택 공급에만 치중할 게 아니라, 기존 주택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정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진중언 기자] [김성민 기자]


[오늘의 세상] 한국도 '빈집 쇼크' 현실화

- 인구 줄고 주택 물량은 쏟아져

저출산·고령화로 수요 계속 감소, 30년뒤 강원·전남 4채중 1채 빈집

- 일본같은 '충격' 올 수도

도시 미관 나빠지고 붕괴 위험… 범죄까지 늘면서 사회 문제 돼

- 선제적 '빈집 대책' 시급

주택 공급량 통제하고 빈집 정비율 관리해야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남 고흥군(36%) 한 마을은 한때 50여 가구가 살았지만, 지금은 20여가구만 남았다. 나머지 집은 아무도 살지 않는 폐가(廢家)로 변했다. 마을 주민 70대 김모씨는 "젊은 사람은 도시로 떠나버리고, 지금 사는 주민들마저 세상을 떠나면 사람 없이 집만 덩그러니 남은 유령 마을이 될 지경"이라고 말했다.

2일 서울 도심 한복판인 종로구 사직동 경희궁 맞은편. 골목을 따라 들어가자 두 집 건너 한 집꼴로 빈집이 나타났다. 콘크리트벽이 무너져 내려 여기저기 집 내부가 훤히 보였고, 문 앞에 '재난 위험 시설 D등급 지정 안내' 표지판이 서 있는 곳도 눈에 띄었다. 이 동네에서 30년째 살고 있다는 김모(63)씨는 "낡을 대로 낡은 동네에 재개발 추진으로 주민이 대거 떠났고, 이후 사업이 지지부진해 빈집이 흉가처럼 남았다"며 "밤이 되면 뭔 일 날까 봐 빈집 근처에는 얼씬도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에도 일본형 '빈집 쇼크'가 현실화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에 주택 과잉 공급까지 맞물리면서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에도 일본처럼 '빈집 문제'가 심각해지는 것이다. 서울에만 빈집이 8만가구에 육박하자 서울시가 리모델링 자금 지원 등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를 가동했고, 경기도엔 빈집이 14만5000가구에 달한다.


◇나홀로 노인 증가… 빈집 문제 악화

한국의 빈집 문제는 해가 지날수록 심각해질 전망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050년엔 전체 주택의 10%(302만가구)가 빈집이고, 강원·전남 등 일부 지역에선 네 집 중 한 집에 사람이 살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빈집 증가는 주택 수요가 왕성한 청장년층이 감소하고, 노인 가구와 혼자 사는 가구는 계속 늘어나는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65세 이상 혼자 사는 가정이 2010년 147만가구였지만, 2050년엔 429만가구로 늘면서 전체 가구 중 19%를 차지할 것"이라며 "노인 인구가 병원이나 요양시설로 옮기면 그 집은 자연스럽게 공가(空家)로 전락한다"고 분석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A아파트는 입주한 지 6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세 집 중 한 곳이 비어 있다. 교통이 불편해 수요가 많지 않은 데다, 은퇴 계층이 원하지 않는 대형 아파트(전용 163㎡ 기준) 단지이기 때문이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1인 가구 증가로 작은 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심화되면서 경기도 일부 대형 면적 아파트는 빈집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해마다 수십만 가구 신규 주택이 쏟아지는 것도 빈집 증가를 부추기고 있다. 2015년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76만5328건으로 1977년 관련 조사 시작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작년에도 11월까지 인허가된 주택은 63만6823가구. 연말까지 합치면 2년 연속 70만가구를 넘을 것이 확실하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빈집 문제에 대한 고민 없이 지자체마다 무조건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주택 공급 위주 도시 계획을 짜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집값 장기 침체… 일본 전철 밟을 수도

전문가들은 주택 활황기에 과잉 공급한 주택 때문에 빈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사회 문제로 번진 일본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일본은 1988년 394만가구였던 빈집이 생산 가능 인구 감소, 저출산·고령화 등 영향으로 급증, 2013년엔 820만가구까지 증가했다.

일본에서 빈집이 증가한 지역은 주변 부동산 가격이 장기 침체하고 상권(商圈)도 위축됐다. 이에 따라 유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지역이 더욱 황폐해지는 악순환을 겪는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일본처럼 우리도 폭증하는 빈집으로 인해 도시 경관 악화, 붕괴나 화재 위험 증가, 범죄 발생률 증가 등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정부가 주택 인허가 등 건축률을 관리하면서 빈집 정비율을 동시에 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중언 기자 jinmir@chosun.com] [김성민 기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