쑹핑은 후진타오를 덩샤오핑에게 추천하는 한편 스스로도 깐수성 당서기를 거쳐, 1989년부터는 중앙조직부 부장을 지낸 인물이다. 이후 공청단 중앙서기처의 서기(1982~1985)를 거치면서 청년조직의 지도자를 지냈고, 1985년에는 43세의 나이에 구이저우성 당서기에 올라 일찌감치 밝은 미래를 내다볼 수 있었다.
▲ 테크노그라트 시절에 각광받은 칭화대의 옛 정문 주룽지, 후진타오는 물론이고 시진핑을 배출한 칭화대는 테크노그라트가 각광받는 시절에 가장 높은 주가를 달렸다 | |
ⓒ 칭화대학홈페이지 |
그런데 문제는 앞서 말하는 것 같은 이야기 안에 스토리가 별로 없다. 2003년 자리를 받았지만 상무위원회를 장악한 장쩌민 계열의 위세를 꺽을 수 없었다. 실권이 없었기 때문에 정치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그들이 장악할 수 있는 권력은 많지 않았다. 실제로 앞선 지도자들의 자식이나 식솔들은 국영기업체를 비롯한 알자배기를 얻었지만 후진타오나 주변 사람들이 큰 이권을 가졌다는 이야기를 잘 못듣는 것도 이런 이유일 것이다.
때문에 그림자 지도자의 한계에 대한 염증과 더불어 자신의 뒤를 잇는 시진핑은 그런 오류를 반복하지 않기 바라는 이유에서도 국가 주석과 동시에 군사위 주석까지 주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후에는 우리나라 부군수에 해당하는 직위로 일했고, 1999년에는 푸젠성 성장까지 올랐고, 2002년에는 저지앙으로 옮겼다. 다음해에 저지앙 당서기에 오른 그는 천량위가 배임사건으로 빠진 상하이에 들어가 짧은 시간 동안 서기를 하다가 다음에는 상무위원으로 선발됐고, 중앙당학교 교장을 맡았다. 2008년에는 차기가 예정된 부주석으로 선발됐고, 2013년 국가주석이자 총서기를 물론이고 군앙군사위 주석까지 받으면서 명백한 중국의 지도자가 됐다.
▲ 시진핑이 생활하던 샨베이에 보편적인 야오동 흙을 파고 안에 만든 동굴식 가옥은 장점도 있지만 벌레의 습격 등을 피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사진은 그래도 고급이라 할 수 있는 옌안 마오쩌둥 거주 야오동 | |
ⓒ 조창완 |
시진핑의 또 다른 강점은 스토리가 있다는 것이다. 시진핑이 중학교를 졸업하던 시절부터 문혁이 본격화됐다. 시진핑은 아버지의 고향인 샨시성의 농촌으로 갔다. 지금처럼 덩치크고 귀공자로 살았던 그에게 노동은 물론이고 크고 작은 벌레들은 극악한 환경이었다.
결국 3달만에 몰래 베이징행 열차를 타고, 돌아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돌아가 그 환경을 극복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스를 이용한 설비를 만드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 현지들의 칭찬을 받을 만큼 성숙해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아버지의 정치적 역경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에 가입해 정치적 발판을 마련하고, 칭화대학에도 입학하는 유리한 조건을 얻게 된다.
우선 앞서 말한 것처럼 시진핑은 당대 권력과 모든 선이 닿아있는데, 그 선을 끊지 않으면 그의 정치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공산화 이후 중국의 부나 권력은 대부분 중국 공산당의 자제들이 갖고 있다. 중국이 급속히 성장하고 발전할 때는 새로운 부가 창출되어 나누는데 문제가 없었지만 가용 자산이 줄어들고, 성장률도 낮아지는 상황이어서 많이 가진 자들의 것을 나누워야 하는 상황은 이미 시작됐다.
시진핑 정부는 자신에게 힘을 보탰던 이들까지 개혁에 동참시켜야 하는데, 나눔의 문화가 익숙치 않은 중국에서 이런 개혁이 가능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또 제도적으로도 독생자녀제도의 수정, 후코우 제도의 개혁, 토지 국유제의 변경 등 메가톤 개혁 요소들이 쌓여있다.
국제문제도 녹녹치 않다. 시진핑의 등장 시기는 동아시아의 강국인 한국이나 일본 역시 2세 정치인이라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1년여가 지난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 관계는 나쁘지 않고, 중국과 일본의 관계는 그다지 좋지 않은 상황이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외면과 지나친 미일 동맹의 강화 등이 가장 큰 이유다.
▲ 단둥 항미원조기념관 중국 근대에 가장 큰 사건중에 하나인 한국전쟁 개입을 중국은 항미원조(미국에 대항하고, 조선을 돕다)라고 부른다. 단둥에 있는 항미원조기념관 | |
ⓒ 조창완 |
시진핑은 지금까지 한국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고 있지만 근원적인 사고에서 친한국적인 것은 아니다. 시진핑은 부친 시중쉰의 경험으로 인해 한국전쟁 등으로 인해 한국에 대해 강한 인상을 갖고 있는데, 이게 한국에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다.
시진핑은 2010년 10월 25일 있었던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60주년 기념식에서 "위대한 항미원조(抗美援朝 한국전쟁의 중국 표현)는 침략에 대항한 정의로운 전쟁이었다"고 발언해 그의 역사관을 확인시켜줬다. 또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이 많아서 공생이 가능했던 지난 시대의 경제교류와 달리 앞으로의 경제교류는 비슷해지는 인건비 등으로 인해 본격적인 경쟁관계에 접어든다.
중국으로서는 대체할 수 있는 나라가 많기 때문에 언제나 한국에 '노'를 외칠 수 있지만 경제의 절반 가까이를 중화권에 의지한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위기가 국운을 좌우하는 상황으로 바뀌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극우화하는 일본은 미국과 더욱 공고히 하면서 중국을 압박하는 추세다. 경제에서 지나치게 중국에 집중되어 있는 한국으로서는 정말 샌드위치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역시 이런 역학 관계를 알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정치적 입장을 중시하고 있다. 하지만 복기하면 이런 상황은 100여전 전과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아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도 한다.
덧붙이는 글 | 연재기사
★★★★<<< [조용준의 중국 재테크] 성장 내주고 체질 개선 선택한 리커창 >>>★★★★ (0) | 2014.04.11 |
---|---|
'차이나 머니' 몰려온다..주가·환율 '쥐락 펴락' (0) | 2014.04.08 |
시진핑, 25년 권력 장쩌민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 (0) | 2014.04.05 |
★★★<<< 中 위기, 포춘 500대 기업에 물어라 >>>★★★ (0) | 2014.04.02 |
중국인의 부자 본능을 깨운 덩샤오핑 (0) | 201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