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그림자금융의 공포..규모 파악 힘들어 中 정부 조마조마 >>>

중국관련

by 21세기 나의조국 2014. 3. 3. 12:54

본문

그림자금융의 공포..규모 파악 힘들어 中 정부 조마조마

매경이코노미 | 입력 2014.03.03 09:23

 

 

 

전 세계에서 중국 경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나라가 한국이라는 데 토를 다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 같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통계만으로도 한눈에 드러난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 중 26.1%가 중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대중국 무역흑자는 606억달러로 전체 무역흑자(약 442억달러)를 훌쩍 넘어섰다. 중국 경제 둔화가 곧바로 한국 경제 악화로 연결되는 배경이다.

 



↑ 중국 그림자금융 폭탄이 마침내 터졌다. 사진은 중국 공상은행 본사. <매경DB>

 

 

개인적으로는 경제 악화에 따른 중국 내부의 동요 가능성이 한국 경제에 더 무서운 적이라고 생각한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누적돼온 소득과 계층, 지역 간 격차에 대한 국민적 불만을 해소해온 것은 사실 빠른 경제 성장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경제가 예상 밖의 침체를 겪는다면 내부 불만이 폭증하면서 정치·경제적 불안정성이 높아져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경제에 큰 리스크로 부상할 수 있다.

 


다행히도 중국 경제는 작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큰 문제없이 순항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수출과 투자, 산업생산, 소매판매 등 경제 지표가 다소 둔화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에도 연초에는 경기 둔화 신호가 강했지만 하반기에 회복세로 돌아선 전례가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아주 의심스러운, 그래서 상당히 주목해 봐야 할 신호가 하나 나타났다. 바로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의 연쇄 부도 가능성이 그것이다.

 


그림자금융 문제는 새로운 이슈는 아니다. 지방정부 부채 문제와 함께 서구 언론에서 단골로 지목해온 중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이다. 이에 대해 중국 내 경제 전문가들은 서구 언론의 지적을 하나같이 모함으로 몰아세웠다.

 

 

그림자금융으로 조달한 자금을 무분별하게 투자한 일부 기관은 문제를 겪을 수 있지만 위험이 개인투자자들에게 전이돼 경제 전체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충분히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피력해왔다.

 


고금리 신탁 상품 잇단 부도 위기 투자심리·실물경제 둔화 우려

 


그러나 요즘 들어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부도 위기에 내몰리는 그림자금융 상품이 잇따라 등장하면서부터다.

 


중청신탁은 지난 2010년 1월 중국 최대 공상은행을 통해 판매한 30억위안(약 5300억원) 규모 신탁 상품에 대해 지난 1월 말 만기 도래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에게 원금을 제대로 상환하지 못했다.

 

 

석탄분야 에너지기업이 투자금 마련을 위해 고안한 상품으로 700여명의 투자자들이 연결돼 있다. 당국과 은행이 문제 해결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한 끝에 최종 부도에 따른 원금 손해 위기는 벗어난 것으로 전해졌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

 


이로부터 불과 일주일 뒤 비슷한 사건이 또 터졌다. 지린신탁이 중국 제2위의 건설은행을 통해 모집한 총 9억7270만위안(약 1713억원) 규모 신탁 상품 중 일부가 만기 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 총 여섯 차례에 걸쳐 발행된 이 상품은 상품별로 계속해서 만기가 돌아온다. 부도 위기가 언제라도 재현될 수 있는 상황이다.

 


중국을 대표하는 두 곳의 은행에서 판매한 신탁 상품이 이런 위험에 노출되자 당국자들도 내심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이 정도 규모 금융 상품의 부도는 충분히 중국 경제가 감내할 수 있겠지만 연쇄 부도가 지속되면서 시장의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악화될 경우 심각한 자금 시장 경색을 피하기 어렵다. 여기에 실물경제 둔화까지 겹친다면 그야말로 설상가상이다.

 


가장 무서운 것은 이런 그림자금융의 규모를 중국 정부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류스진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부주임은 얼마 전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그림자금융이 정부의 관리감독 체계를 벗어났다는 평가가 있다"며 "신뢰할 만한 권위적 통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중국 정부의 경제 정책을 입안하는 핵심 당국자 입에서 나온 말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무게감이 느껴진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