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신 올림말 >
♠ 1세(生)
농장(弄璋) : 득남(得男),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 장남감을 주는데서 유래. 아들을 낳은 경사 - 농장지경(弄璋之慶)
농와(弄瓦) : 득녀(得女), 딸을 낳으면 실패{瓦}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 딸을 낳은 경사 - 농와지경(弄瓦之慶)
♠ 2세-3세
제해(提孩) : 제(提)는 손으로 안음, 孩(해)는 어린아이, 유아가 처음 웃을 무렵(2-3세). *해아(孩兒)도 같은 의미로 사용.
♠ 15세
지학(志學) : 공자(孔子)가 15세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육척(六尺) : 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반{二歲半} 나이의 아이 키를 의미.- 6척은 15세.* cf) 삼척동자(三尺童子)
♠ 16세
과년(瓜年)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여자 나이 16세를 나타내고 결혼 정년기를 의미함.
* 남자는 64세를 나타내면서 벼슬에서 물러날 때를 뜻함. - 파과(破瓜)
♠ 20세
약관(弱冠) : 20세를 전후한 남자. 원복(元服;어른 되는 성례 때 쓰던 관)식을 행한데서 유래.
방년(芳年) : 20세를 전후한 왕성한 나이의 여자. 꽃다운{芳} 나이{年}를 의미.
♠ 30세
이립(而立) : 공자(孔子)가 30세에 자립(自立)했다는 데서 유래.
♠ 40세
불혹(不惑) : 공자(孔子)가 40세에 모든 것에 미혹(迷惑)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강사(强仕) : <예기 designtimesp=19502>에 "四十曰强 而仕 - 40세을 강(强)이라 하는데, 이에 벼슬길에 나아감{仕}"에서 유래. * 强(강) 마흔살
♠ 48세
상년(桑年) : 상(桑)의 속자(俗字)는 '十'자 세 개 밑에 나무 목(木)을 쓰는데, 이를 파자(破字)하면 '十'자 4개와 '八'자가 되기 때문.
♠ 50세
지명(知命) : 공자(孔子)가 50세에 천명(天命:인생의 의미)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 "知天命"의 준말
♠ 이순, 육순(耳順, 六旬) 60세) : 이순은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이다. 60세 때의 생신인 육순(六旬)이란 열(旬)이 여섯(六)이란 말이고, 육십갑자(干支六甲)를 모두 누리는 마지막 나이
♠ 환갑, 회갑(還甲, 回甲) (61세) : 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
♠ 진갑(陳·進甲) 62세) : 62세 때의 생신으로 다시 60갑자가 펼쳐져 진행한다는 의
미
♠ 미수(美壽) : (66세) : 66세 때의 생신이다. 현대 직장의 거개가 만 65세를 정년으로 하기 때문에 66세는 모든 사회활동이 성취되어 은퇴하는 나이이면서도 아직은 여력이 있으니 참으로 아름다운 나이이므로 `美壽'라 하고, `美'자는 六十六을 뒤집어 쓰고 바로 쓴 자이어서 그렇게 이름 붙였다.
♠ 고희·칠순·종심(古稀·七旬·從心)(70세) : 70세 때의 생신이다. 두보(杜甫)의 곡강(曲江) 시에?「술 빚은 보통 가는 곳마다 있으니 결국 인생은 기껏 살아 본들 70세는 옛날로부터 드물다.(酒債尋常行處有하니 人生七十古來稀라.) 란 승구 중 고(古)자와 희(稀) 자만을 써서 ‘고희(古稀)’란 단어를 만들어 70세로 대신 쓴 것이다.?또한 뜻대로 행하 여도 도(道)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데서 종심이라 하였다.
♠ 희수(喜壽) (77세) : 77세 때의 생신이다. 오래 살아 기쁘다는 뜻. 희(喜)자를 약자로 쓰면 七十七이 되는 데서 유래
♠ 팔순·산수(八旬·傘壽) (80세) : 80세 때의 생신이다. 산(傘)자의 약자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
♠ 미수(米壽) (88세) : 88세 때의 생신이다. 미(米)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는 것에서 유래
♠ 졸수(卒壽) (90세) : 90세 때의 생신이다. 졸(卒)의 속자(俗字)가 아홉구(九)자 밑에 열십(十)자를 사용하는데서 유래
♠ 백수(白壽) (99세) : 99세 때의 생신이다. 백(百, 100)에서 일(一)을 빼면(99세) 즉, 백자(白字)가 됨
♠ 천수(天壽) : 병없이 늙어서 죽음을 맞이하면 하늘이 내려 준 나이를 다 살았다는 뜻으로 천수라 한다.
< 경주 최부자집의 가훈 >
"부자가 3대를 넘기기 힘들다 (富不三代)" 란
말이 있지만 경주 최부자집의 경우엔 예외이다.
경주 최부자집은 12대 300년 이상을
만석꾼으로 일가를 이룬 가문인데
300년 이상을 이어온 <가훈>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큰 교훈을 준다.
첫째,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의 벼슬을 하지 마라.
둘째,
만 석 이상의 재산을 모으지 말며
만 석이 넘으면 사회에 환원하라.
셋째,
흉년기에는 남의 논밭을 매입하지 말라.
넷째,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다섯째,
며느리들은 시집온 뒤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여섯째,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
1.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事後悔)
부모에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후에 뉘우친다.
2. 불친가족소후회(不親家族疎後悔)
가족에게 친절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3. 소불근학노후회(少不勤學老後悔)
젊어서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4. 안불사난패후회(安不思難敗後悔)
편할 때 어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면 실패한 뒤에(어려움을 당하여) 뉘우친다.
5. 부불검용빈후회(富不儉用貧後悔)
잘살 때 아껴쓰지 않으면 가난 후에 뉘우친다.
6. 춘불경종추후회(春不耕種秋後悔)
봄에 씨를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뉘우친다.
7. 불치원장도후회(不治垣墻盜後悔)
담장을 고치지 않으면 도적맞은 후에 뉘우친다.
8. 색불근신병후회(色不謹愼病後悔)
색을 삼가지 않으면 병든 후에 뉘우친다.
9. 취중망언성후회(醉中妄言醒後悔)
술취해서 망언하면 술깬 뒤에 뉘우친다.
10. 부접빈객거후회(不接賓客去後悔)
손님을 접대하지 않으면 간 뒤에 뉘우친다.
< 四端論 (사단론) >
유학에서,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성품
인의예지 [仁義禮智]
출전 『孟子』「公孫丑章」
맹자의 공손축장에 보면 사단설이 나오는데 아래와 같다.
惻隱之心 仁之端也. (측은지심 인지단야)
-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은 어진 마음의 시작이다
羞惡之心 義之端也. (수오지심 의지단야)
- 서로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 하는것이 의로움의 시작이다.
辭讓之心 禮之端也. (사양지심 예지단야)
- 겸손하게 사양하는 마음은 예의바름의 시초이다.
是非之心 智之端也. (시비지심 지지단야)
-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은 지혜로움의 시작이다
< 삼강 오륜(三綱 五倫) >
삼강(三綱)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군위신강(君爲臣綱)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부위부강(夫爲婦綱)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오륜(五倫)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부자유친(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부부유별(夫婦有別)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며
붕우유신(朋友有信)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3가지 강령과
사람이 항상 행해야 할 5가지 실천 덕목.
삼강의 윤리는 당시의 전제군주권, 가부장적 부권, 남존여비에 입각한 남편의 절대적 권위 등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유교가 도입되고 그것이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자리잡으면서 삼강의 윤리가 통치체제를 지탱하는 기틀이 되었다. 특히 1431년(세종 13)에 〈삼강행실도 三綱行實圖〉를 간행하여, 삼강의 윤리가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확대되도록 힘썼다. 그리고 삼강에 위배되는 행위에 대해서는 강상죄(綱常罪)라 하여 특히 무거운 벌을 내려 그 실천에 철저를 기했다.
오륜은 동중서가 인(仁)·의(義)·예(禮)·지(智)의 4가지 덕에 신(信)의 덕목을 추가하여 이를 오행에 짝 맞추어 정리한 것이다. 오륜을 또한 오상(五常)이라고 했다.
세속오계(世俗五戒)
사군이충(事君以忠) : 나라에 충성을 다한다(충성)
사친이효(事親以孝) : 어버이에 효성을 다한다(효성)
교우이신(交友以信) : 벗에게 신의를 다한다(신의)
임전무퇴(臨戰無退) : 전쟁에는 후퇴가 없다(용기)
살생유택(殺生有擇) : 생물은 가려서 죽인다(어짐)
※ 신라 원광법사가 사랑부에 사는 귀산과 추항에게 가르친 다섯가지 계율,
화랑오계라고도 한다.
< 춘향전에 나오는 "시" 한 수 >
금준미주(金樽美酒) 천인혈(千人血)이요.
옥반가효(玉盤佳肴) 만성고(萬姓膏)라.
촉루낙시(燭淚落時) 민루낙(民淚落)이요,
가성고처(歌聲高處) 원성고(怨聲高)라.
“금잔의 아름다운 술은 일만 백성의 피요,
옥소반의 아름다운 안주는 일만 백성의 기름이라.
촛불 눈물 떨어질 때 백성 눈물 떨어지고,
노랫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높았더라.“
이 한시는 춘향전에 나오는 것으로
장원급제한 이도령이
변사또가 여흥을 즐기는 장소에서
한 수 읊은 것입니다.
<< 업(業)의 시대 >>, 부모님 살아 계실 때 꼭 해드려 (0) | 2009.02.28 |
---|---|
<<재테크 성공>>, 효과적인 의사, 화내기전 (0) | 2009.02.28 |
꼭 기억해야 할 아름다운 글들!! (0) | 2009.02.28 |
[스크랩] 법상식, 안전운행 10, 이사시, 당첨 10계명 (0) | 2008.07.26 |
[스크랩] 연애상식, 장가가는 후배, 내일은 어린이날 (0) | 2008.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