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전년 대비)이 드디어 4%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세부 항목을 보면, 이런 상승세 둔화가 하반기까지 지속하기 어렵다는 비관론이 나온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하지만 우려와 달리 물가 진정세가 이어지면서, 시장에선 5·6월 CPI 상승률이 3%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CPI 상승률이 지난해 5월(8.6%)·6월(9.1%)이 유독 컸기 때문이다.
OPEC플러스( )의 추가 감산 선언으로 유가가 더 떨어지기 힘들다는 점도 부담이다. 하반기에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재개)’ 효과가 본격 나타나면 수요 증가로 인해 국제유가를 비롯한 에너지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근원물가 상승세가 견고한 이유는 기준 금리 인상에 영향을 덜 받는 곳에서 물가 상승세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다. 우선 서비스 분야는 노동 공급이 문제다. 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3월 실업자 1명당 구인 건수 배율은 1.6명이었다. 이는 다소 떨어진 수치지만 여전히 일자리보다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이 훨씬 적다. '서비스업 수요 증가→일자리 증가→노동력 부족→임금 및 가격 상승'의 연쇄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근원물가 상승세를 이끄는 주거비(shelter)도 고정금리 비중이 높다 보니 기준 금리 인상 효과가 덜 나타나고 있다. 실제 지난달 주거비는 전년 대비 8.1% 상승했는데, 3월(8.2%)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마저도 다시 상승 폭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발표한 2월 ‘S&P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가 전달보다 0.3% 오르며 7개월 만에 상승 전환해서다. 케이스-실러 지수는 미국의 대표적 부동산 가격 지수로, 이 지수가 오르면 시차를 두고 주거비도 오른다.
제롬 파월 Fed 의장. AP
기준 금리 인상을 멈추더라도 과거 수준으로 다시 낮추는 이른바 ‘피벗(정책 전환)’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하반기로 갈수록 CPI 상승세 둔화가 나타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 때문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결국 근원물가에서 물가 상승세가 떨어지는 모습이 나와야 기준 금리도 낮출 수 있는데, 그럴 가능성이 현재까지 낮아 보여서, 시장이 기대하는 연내 피벗도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수십 년간 경험하지 못한 경제지표...내년엔 감세 '후폭풍' 우려 (0) | 2023.05.18 |
---|---|
미·중 '헤어질 결심' 아닌데... 신냉전 허상에 빠진 한국 [소셜 코리아] (0) | 2023.05.16 |
'부자아빠' 기요사키 "인플레 고착화 우려...4G 투자전략 주목해야" (0) | 2023.05.11 |
경고음 울리는 대한민국 경제 지표 (0) | 2023.05.08 |
●● '약 37조원 시한폭탄' 9월에 터지나..5대은행 '위기 비상체계' 가동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