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5대 은행이 약 3년 동안 코로나19 금융 지원 차원에서 원금과 이자를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의 대출이 37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고 이 은행들은 잠재적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체계를 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예상대로 9월부터 순차적으로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한꺼번에 부실이 터질 가능성까지 있는 만큼, 그에 앞서 한계에 이른 대출자를 먼저 찾아 연착륙을 유도하고 위험을 줄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은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자마자 정부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습니다.
지원은 당초 2020년 9월로 시한을 정해 시작됐지만, 이후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자 지원 종료 시점이 무려 5차례나 연장됐습니다.
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원이 시작된 이후 이달 4일까지 여러 형태로 원금이나 이자 납기가 연장된 대출의 잔액은 36조 6천206억 원, 건수로는 25만 9천594건(만기연장·원금상환 유예·이자유예 중복)에 이릅니다.
우선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모두 34조 8천135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1조 5천309억 원도 받지 않고 미뤄줬고(원금상환 유예), 같은 기간 2천762억 원의 이자도 유예됐습니다.
결국 현재 5대 은행은 코로나19와 관련해 약 37조 원의 잠재 부실 대출을 떠안고 있는 셈입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 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다시 미뤄줬습니다.
결국 재연장 결정이 없는 한 오는 9월부터 상환 유예 대상 대출자들부터 금융지원이 사실상 종료되는 만큼, 은행권도 하반기 연체율 등이 갑자기 튀어 오르는 등 대규모 대출 부실이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내부적으로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나은행도 지난 2월 연체율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 선제적 위험 관리와 취약 차주 연착륙 프로그램 지원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중은행들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실 조기 감지'를 위해 AI(인공지능) 등까지 총동원해 위험 징후를 찾고 있습니다.
A 은행은 최근 대출 취약 부문을 새로 선정했다. 보통 은행의 대출 취약 부문은 경기에 민감한 건설·부동산 임대·요식업 등인데, 이 은행은 최근 금융지원을 받은 대출자들의 연체율 동향 등을 반영해 취약 부문을 다시 설정했습니다.
B 은행의 경우 얼마 전부터 RPA(로보틱 사무자동화 시스템)를 '이상 징후 차주(대출자) 조기 선별' 작업에 투입했습니다.
사람이 지표 등을 바탕으로 부실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로봇이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객관적으로 위험을 감지하도록 맡긴 것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부자아빠' 기요사키 "인플레 고착화 우려...4G 투자전략 주목해야" (0) | 2023.05.11 |
---|---|
경고음 울리는 대한민국 경제 지표 (0) | 2023.05.08 |
14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 돌파구는 아세안이다 (0) | 2023.05.07 |
한은 “가계부채 누적될수록 경기 침체 가능성 높아져” (0) | 2023.05.05 |
원화값 떨어뜨리고 자금유출 우려…고민 깊어진 한은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