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금리를 또다시 0.25%포인트 올렸다. 이로써 미국의 정책금리는 5.0~5.25%로 한국(3.50%)과 1.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한·미간 금리 역전폭이다. 미국과 금리 역전은 원/달러 환율을 밀어올리고 대규모 자금 유출을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5일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까지 3주간 시장 흐름이 기준금리 방향을 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내려오고 국내 경기 하강 우려가 있는 만큼, 금리차만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은 시장이 이미 예상했던 바였다. 지난달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할 당시에도, 이달 1.75%포인트로 한미간 금리차 확대가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에 뒀다는 얘기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 결정문에서 밝힌 앞으로의 통화정책방향 언급도 한은으로선 당장 금리 인상을 쫓아나설 조급함을 덜게 했다. 결정문에선 앞서 언급됐던 “추가적 정책 긴축이 적절한 것으로 기대한다”는 문구가 삭제돼 향후 금리인상을 중단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 해소에) 시간이 걸릴 것이며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는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고 섣부른 금리 인하 가능성을 부인했으나, 시장은 미국이 추가 긴축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봤다. 모건스탠리는 “연준이 정책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다가 내년 3월 0.25%포인트 내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도 이 같은 해석에 동조하는 모습이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FOMC 회의 직후 열린 4일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이번 결정으로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마무리 단계에 다가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파월 의장이 향후 경제지표에 따라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부인한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연내 정책기조 전환 가능성 등에 대한 연준의 스탠스와 시장기대 간의 괴리가 지속되는 등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미국 은행 불안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도 상존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사상 최대로 벌어진 한·미간 금리 격차가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위험은 여전하다. 금리는 돈의 가치와 다름 없는 데다가 원화는 달러와 달리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니어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내서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더군다나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를 밀어올려, 가까스로 가라앉힌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다시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한은도 긴축 완화에 대한 시장 전망이 섣부르다고 지적해왔다. 특히 물가에 대한 경계감이 여전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성연진 기자
yjsung@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14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 돌파구는 아세안이다 (0) | 2023.05.07 |
---|---|
한은 “가계부채 누적될수록 경기 침체 가능성 높아져” (0) | 2023.05.05 |
●● 미국은 어쩌다 부도 위기…그럼 우리나라는? [주말엔] (0) | 2023.04.29 |
"한국이 美·中 갈등 중재 역할 맡아야" (0) | 2023.04.27 |
원·달러 환율, 불길한 양대 카나리아 징조 韓 경제, '제2의 IMF 위기' 시그널인가?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