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들끓었던 물가가 조금씩 식어가고 있지만 한국은 열외다. 전 세계적인 디스인플레이션(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에서 비켜나 있다.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뉴스1
7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해 12월 38개 회원국의 평균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4% 올랐다고 밝혔다. 11월 10.4%와 견줘 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6월 이후 6개월째 10% 선을 웃돌았던 물가 상승률이 9%대로 다시 내려앉았다. 지난해 10월(10.8%) 정점을 찍고 꾸준히 하락하는 중이다. 물가 상승 폭이 점차 줄어드는 디스인플레이션 경향이 뚜렷하다.
OECD는 “(12월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지난해 11월과 12월 사이 물가 상승률 하락은 38개 회원국 가운데 25개국(비중 65.8%)에서 나타났다”고 밝혔다. 미국ㆍ독일ㆍ프랑스 등 OECD 회원국 3분의 2에서 물가 상승률이 둔화했다.
하지만 한국은 그 안에 들지 못했다. OECD 회원국 중 한국을 포함해 일본ㆍ헝가리ㆍ뉴질랜드 등 13개국(비중 34.2%)은 지난해 11월 대비 12월 물가 상승률이 그대로거나 오히려 올랐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5%, 12월 5%로 동일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수치가 내리기는커녕 1월 5.2%로 오히려 반등했다. OECD 대부분 회원국의 1월 물가 지표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비교가 어렵지만, 전 세계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른 선진국은 물가 상승세가 점차 꺾이고 있는데 한국은 ‘역주행’ 중이란 얘기다.
한국 물가를 다시 밀어 올린 주역은 공공요금이다. 1월 전기ㆍ가스ㆍ수도 요금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3% 급등하면서 전체 지수를 끌어올렸다. 문제는 공공요금 인상 행렬이 이제 시작이란 점이다. 지방자치단체별로 2~3월 택시요금을 올리고 있고, 4월 이후 버스ㆍ수도ㆍ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물가 당국 역시 5%대 높은 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지난 2일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이달에도 5% 내외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물가 상승률이) 1분기에는 5% 내외로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2분기를 지나면서 상방 압력이 다소 약해지고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안정화되는 ‘상고하저’ 흐름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다만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OECD 평균 9.4%와 비교하면 반 토막 수준(5%)이다. 38개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스위스(2.8%), 일본(4%)에 이어 3번째로 낮았다. 10% 선을 훌쩍 넘는 초고물가에 시달리는 튀르키예(64.3%), 헝가리(24.5%), 폴란드(16.6%) 등 여러 국가에 비해 한국 사정이 낫다.
그럼에도 전 세계 확산하고 있는 디스인플레이션 경향에서 한국이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국내 가계ㆍ기업의 고물가ㆍ고금리 고통이 단기간 끝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올해) 연간 성장률이 1%대 초반까지 낮아질 것으로 성장 전망이 후퇴하거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하회하기 이전에는 금리 인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기 어려워 보인다”고 진단했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누적 무역적자 벌써 176억 달러…역대 최대였던 지난해의 37% (0) | 2023.02.15 |
---|---|
올해 누적 무역적자 '쇼크', '역대최대' 찍은 지난해의 두 배 (0) | 2023.02.13 |
작년 경상수지 흑자 3분의 1로 '뚝'…수출 부진에 올해도 암울 (0) | 2023.02.08 |
한은 "미중 무역갈등 심화 땐 韓 수출 1.0~1.7% 감소" (0) | 2023.02.08 |
2차 석유파동 수준으로 오른 전기료…공공요금 ‘폭탄’, 서민층 부담 가중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