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잃어버린 30년'으로 '싼 나라' 된 일본 [글로벌 현장]

일본관련

by 21세기 나의조국 2022. 7. 21. 13:13

본문

'잃어버린 30년'으로 '싼 나라' 된 일본 [글로벌 현장]

입력 2022. 07. 21. 06:01 
 
아이폰 가격도 세계서 일본이 가장 싸..환율 방어 카드 고민하는 일본 정부
[글로벌 현장]

6월 2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의 엔화와 달러화. (사진=연합뉴스)


10년 전 태국 현지에서 대표 요리인 똠얌꿍을 565엔(약 5406원)이면 먹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올 초에는 920엔으로 올랐고 엔화 가치가 20% 떨어진 지금은 1000엔을 내야 맛볼 수 있다. 

태국은 즐길거리가 많은데 비해 물가가 저렴해 일본인들의 인기 관광지다. 하지만 오늘날 일본인들에게 태국 물가는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올 들어 엔화 가치가 약 20% 가까이 떨어진 때문이다. 태국식 덮밥 가파오의 가격이 10년 전 130엔이었는데 올 초에는 200엔, 현재는 220엔이다. 

10년 새 먹거리 가격이 2배, 그 가운데 지난 반년 동안에만 20% 오른 것이다. 일본의 태국 레스토랑 프랜차이즈인 망고트리카페에서 ‘똠얌꿍 누들’의 가격은 1210엔(평일 점심 기준)이다.

세계의 물가를 비교할 때 자주 쓰는 빅맥 가격은 일본이 390엔이다. 세계 33위다. 태국은 443엔으로 25위다. 중국과 한국이 440엔대로 뒤를 잇고 있다. 



 

‘만성 디플레이션’ 익숙해진 일본, 엔화 방어 카드 ‘만지작’


다른 나라들의 물가는 꾸준히 올랐는데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의 장기 침체 동안 물가가 오르지 않다 보니 어느새 ‘싼 나라’가 돼 버렸다. 올해는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더 싼 나라가 됐다. 그 결과 10~20년 전만 해도 ‘국내 여행보다 해외여행이 훨씬 싸다’며 세계 곳곳을 누볐던 일본인들에게 외국은 큰맘 먹고 나서야 하는 곳이 됐다. 최근 일본 미디어들은 “해외여행은 부유층의 특권이고 일반인들은 신혼여행으로 가고시마나 도쿄 근처 온천가인 아타미를 가던 1960~1970년대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고 우려한다.

해외여행이 과거와 같이 만만한 여가 수단이 아니게 되다 보니 일본에서는 의외의 산업이 특수를 누리고 있다. 해외여행지에서 비싼 물가에 움츠러드느니 차라리 국내 여행을 풍족하게 하겠다는 소비자를 타깃으로 하는 상품이 등장했다.

나고야의 백화점 마쓰자카야는 ‘애스턴마틴으로 떠나는 궁극의 교토’라는 여행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1박 2일 코스가 1인당 38만 엔인데도 의외로 잘 팔린다는 설명이다. 마쓰자카야 관계자는 경제 전문 뉴스 WBS에 “엔저의 영향으로 올여름은 해외여행을 망설이는 사람이 늘 것으로 생각해 국내 여행 상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1개에 수천만원씩 하는 명품 시계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엔화 가치가 계속해 떨어지니 수입 가격이 점점 오르고 있다. ‘해외여행 대신 명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수요도 증가 추세다. 그러니 ‘오늘이 제일 싸다’며 가격이 오르기 전에 명품 구매 행렬에 줄을 선다는 것이다.

일본의 가격이 싸다 보니 해외에서 ‘직구’하는 수요도 늘고 있다. 일본의 명품 전문 매장에서 롤렉스 ‘코스모그래프 데이토나’는 5만123달러(약 6504만원)에 판다. 반면 미국 현지 매장에서는 같은 상품이 5만9950달러로 1만 달러 가까이 비싸게 팔린다. 미국과 홍콩 등 세계 각지에서 주문이 몰리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했다.

‘싼 나라 일본’은 아이폰 가격을 비교해 봐도 알 수 있다. 일본 시장 조사 업체인 MM종합연구소가 34개 주요국의 최신 기종 아이폰 가격을 조사한 결과 일본이 가장 쌌다. 작년 9월 발매된 아이폰13(128GB)은 일본 판매 가격이 9만8800엔으로 유일하게 10만 엔 이하였다. 미국은 11만 엔대, 영국과 독일 등 유럽은 12만 엔대였다. 12만6433엔인 세계 평균보다 2만7000엔(21%) 쌌다. 가장 비싼 브라질은 대당 가격이 20만7221엔으로 일본의 2.1배였다. 

MM종합연구소는 “만성 디플레에 시달리는 일본은 다른 나라보다 가격을 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렇지 않아도 쌌던 일본의 아이폰 가격은 엔화 약세로 더 싸졌다. 정확히는 다른 나라의 아이폰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비싸졌다. 작년 9월 발매 당시 환율로는 홍콩의 아이폰13 가격(9만6692엔)이 일본보다 쌌다. 하지만 엔화 가치가 20% 가까이 떨어지면서 홍콩의 가격이 일본을 앞질렀다.

달러가 엔화당 110엔이었던 올 초 아이폰13을 9만8800엔에 팔면 애플의 미국 본사는 898달러의 매출을 올릴 수 있었다. 환율이 135엔인 지금은 대당 매출이 735달러로 163달러나 줄었다. 아니나 다를까, 애플은 2020년 11월 출시한 맥북에어의 가격을 11만5280엔에서 최근 13만4800엔으로 2만 엔 올렸다. 7월 출시되는 신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가격을 5만 엔 올린 16만4800엔에 내놓았다.



마이너스 금리 유지하는 일본 정부 


엔화 가치 급락은 일본의 중소기업과 서민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일본 정부도 이를 의식하고 있다. 지난 6월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전화 여론 조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 내각의 지지율은 60%로 지난 5월(66%)보다 6%포인트 하락했다.

엔화 가치가 크게 떨어지는 것은 미국 등 다른 나라들은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는데 일본은 금융 완화 정책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엔화 급락을 멈추려면 일본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등 대규모 금융 완화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6월 17일 금융정책결정회의 후 기자 회견에서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마이너스 금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일본에 남은 수단은 구두 개입과 외환 시장 직접 개입 정도다. 일본 재무성·금융청·일본은행 등 통화 정책을 관리하는 정부 부처가 모두 모여 6월 10일 긴급 회의를 열고 이례적으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을 통해 일본 통화 당국은 “최근 외환 시장에서 엔저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우려스럽다”며 “필요하다면 적절한 대응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환 시장에서 통화 당국의 ‘우려’는 상당히 강한 표현으로 받아들여진다. 기자 회견에 나선 간다 마사토 재무성 재무관은 외환 시장에 개입할 가능성도 부인하지 않았다.

이날 일본 통화 당국의 강도 높은 구두 개입이 효과를 발휘했을까. 6월 10일 오후 2시 재무성이 3개 부처 공동 회담을 연다고 발표한 직후 엔화 가치는 0.4엔 올랐다. 오후 4시께 ‘우려’라는 표현을 담은 성명문이 나오자 엔화 가치는 0.5엔 추가로 절상돼 133.3엔까지 올랐다.

하지만 여기까지였다. 엔화 가치는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고 6월 29일 137엔대까지 떨어졌다. 일본 통화 당국이 강한 표현을 써가며 성명문을 냈지만 정작 영어 번역문은 발표하지 않았다. 외환 거래의 한 축인 해외 투자가는 놓아 두고 국내 시장 참가자에게만 구두 개입을 한 것이다. 7월 10일 참의원 선거를 의식한 국내용 이벤트였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마지막 남은 엔화 방어 수단은 외환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엔화를 직접 사 인위적으로 엔화 강세를 만드는 조치다. 일본 정부가 마지막으로 외환 시장에 개입한 것은 1998년 6월이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엔화를 2조 엔어치를 사들이고도 환율 방어에 실패했다. 그해 8월에는 엔화 가치가 147.64엔까지 떨어졌다.

무엇보다 일본 정부가 시장에 직접 개입할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환 시장에 개입하려면 상대방인 미국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엔화 가치를 끌어올리면 달러 가치가 떨어진다. 40년 만에 최악의 물가 상승에 시달리는 미국이 수입 물가를 더 치솟게 만들 달러 약세에 동의할 리 없다는 것이다.

미국 재무부는 7월 10일 발표한 ‘반기 외환 보고서’에서 “외환 시장 개입은 매우 예외적인 환경에 대해 적절한 사전 협의를 거친 경우에만 실시될 것으로 강하게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1998년 일본이 마지막으로 외환 시장에 개입했을 때는 미국 정부도 동의했다. 일본 대형 금융회사들의 파산으로 금융 시스템이 붕괴 위기에 몰린 매우 예외적인 환경이었기 때문이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나 홀로 금융 완화를 고집하는 현재 일본의 상황을 ‘매우 예외적인 환경’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없다. 엔화 가치가 24년 전 최고치인 147엔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하는 이유다.

도쿄(일본)=정영효 한국경제 특파원 hugh@hankyung.com

 

ⓒ 한경 비즈니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