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과 인플레이션, 연착륙이 핵심 화두가 되고 있는 '긴 인·연'의 시기입니다. 두 달 가까이 투자자들을 괴롭히고 언제 끝날 지 몰라 '질긴 인연'이라고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꼭지가 어디인 지, 긴축 속도는 얼마나 빨라질 지, 연착륙은 가능한 지 여부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지만 어느 누구도 명쾌한 답을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그나마 솔직한 답변을 내놨습니다. 지난 12일(이하 각국의 현지시간) 미국 내 경제 팟캐스트인 마켓플레이스에 출연해 "금리를 더 빨리 올렸으면 좋았을텐데"라며 뒤늦은 후회를 할 때 발언입니다.
당시 파월 의장은 "경기 연착륙 여부는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요소에 달렸다"(It may actually depend on factors that we don’t control.)고 고백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지정학적 요인을 통제 불가능한 예로 들었습니다.
어찌 보면 "연착륙을 못해도 내 책임 아니야"라고 읽혀 무책임한 얘기로 들립니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내 능력 밖이야"라며 시장과 솔직한 소통을 하려는 의지로도 읽힙니다.
그러면서 파월은 할 수 있는 것만 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지정학적인 건 모르겠고 인플레이션의 핵심 뇌관이 될 노동시장을 정상으로 되돌려놓겠다고 했습니다.
그럼 지정학적 요인은 누가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게 모범답안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멈추게 할 수는 없겠지만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산유국과의 외교관계를 정상으로 돌릴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현 시점에선 미국의 중동 외교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앉으나 서나 중국 견제만 외치고 있습니다. 이번 주 한국 일본을 잇따라 방문해 중국 포위망을 짜려고 합니다.
외교의 시간을 맞아 인플레이션의 방패가 됐음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중동 외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인설의 워싱턴나우'는 매주 월요일마다 유튜브 영상과 온라인 기사 등으로 알짜 정보를 전해주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을 통해 찾아뵙고 있습니다.
애플 코를 다시 납작하게 만든 아람코
중동의 '오일 머니'가 미국의 '폰 머니'를 압도했습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가 애플을 제치고 세계 1위 기업이 된 것입니다.
아람코는 2019년 상장과 함께 세계 최대 시총 기업이 됐다가 코로나19 이후 빅테크의 전성시대를 맞아 2020년 8월 애플(2조3800억달러)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그러다 1년9개월 만에 글로벌 최대 기업으로 재등극했습니다. 아람코의 시총은 지난 13일 기준으로 2조4800억달러였습니다.
그리고 아람코는 1분기에 순이익이 395억달러로 1년 전보다 82%나 늘어났습니다. 아람코가 떠받치는 경제여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도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사우디 경제가 올해 7.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UAE)의 경제도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UAE의 증시는 2년만에 두 배가 됐습니다.
모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오일플레이션 덕입니다. 이렇게 잘 나가면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의 증산 요구를 들어줄 만한데 중동 국가들은 미동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원유 증산 거부'로 복수하는 사우디
70년 혈맹이었던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가 꼬인 시발점은 2018년 사우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사건입니다. 바이든 행정부가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지목하면서였습니다. 이에 비해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완전히 사우디 편에 섰습니다. 카슈끄지 암살사건이 발생한 뒤에도 빈살만 왕세자를 비호했습니다. 사우디와 카타르의 갈등에서도 사우디를 지지했습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달랐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 국왕과 통화했지만 빈살만 왕세자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에게 왕세자의 상대 역할을 맡겼습니다. 무함마드 왕세자의 직책 중 국방장관도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결정이었지만 무함마드 왕세자는 "자신을 무시한다"고 느꼈습니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건 이란과의 관계 개선이었습니다. 미국이 사우디의 앙숙인 이란과의 핵합의를 복원하려 하고 이란과 동맹 관계인 예멘 후티 반군을 인도주의적 이유를 들어 테러조직 명단에서 해제했습니다. 모든 게 사우디와의 관계를 악화시켰습니다.
뒤늦게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중동 지역에 공을 들이고 윌리엄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비밀리에 사우디를 방문했지만 상황을 되돌리진 못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좀 더 일찍 대응했어야 했다"는 파월의 만시지탄과 다를 바 없습니다.
스텝 꼬이는 미국의 중동 외교...영향력 커지는 오일머니
그렇다고 증산 측면에서 사우디를 대체할 수 있는 카드인 이란과의 관계가 확 좋아진 것도 아닙니다. 이란과의 핵 합의는 마무리될 듯 하다가 마무리되지 않고 여전히 교착 상태입니다.
이란의 혁명수비대를 테러조직에서 해제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미국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 협상 당사국 중 미국을 뺀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들은 어떻게라도 협상을 마무리지으려 하고 있습니다. 혁명수비대 제재 해제 문제는 미래 합의사항으로 돌리고 일단 합의문에 서명하려 시도했지만 미국에서 거절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공화당과 유태계의 반대로 인해 혁명수비대 제재 해제와 이란 핵협상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
미 관료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테러 지정 해제를 위한 조건을 완화하거나 이를 없애지는 않을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나쁜 합의보다는 '노딜'이 낫다는 논리입니다.
그리고 이란과 앙숙인 사우디와 UAE, 이스라엘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우디는 계속해서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을 못마땅해 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와 이란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딜레마입니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의 속내는 복잡합니다. '친 사우디, 반 이란'으로 간명하게 접근한 트럼프 노선과 달리 사우디와 이란을 다 잡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반대입니다. 양다리 걸치다 아무 것도 못 잡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래도 11월 미국 중간선거 전에 중동에서 어떤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옵니다. 사우디나 이란 중 하나라도 잡아야 인플레이션이 최대 쟁점이 된 중간 선거에서 패배를 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가운데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오일머니'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질 전망입니다. Fed가 양적긴축에 들어가고 미국 내 자산 가격이 더 빠지면 과거 중국이나 일본이 했던 것처럼 미국의 채권을 비롯한 각종 자산을 쓸어담을 수도 있습니다.
아시아 외교에서도 시험대 오른 미국
중동에서 '빈손 외교'를 하고 있는 미국이 이번 주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도 시험을 봅니다. 중국 견제에 얼마나 많은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이 동참해줄 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때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2~13일 워싱턴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 정상들과 만나 중국 경제를 견제하는 경제 협의체인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독려했습니다. 이어 한국시간 기준으로 21~22일에 한국을, 23~24일에 일본을 각각 방문합니다.
24일이 관심이 집중되는 날입니다.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 간 안보협의체인 쿼드(QUAD) 정상회의를 열면서 다른 국가들을 화상으로 참여시켜 IPEF 출범을 선언하는 때입니다.
관건은 어느 나라까지 참여할 지 여부입니다. 한국과 일본 외에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가 참여에 긍정적인 의사를 보이고 있습니다. 베트남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쿼드 국가 중 인도도 빠지고 아세안 국가 중 상당수가 중국 눈치 때문에 동참을 꺼려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IPEF의 성격도 모호합니다. 다자간 경제 협의체라고 하지만 관세를 제외하고 어떤 형태로 중국 경제를 견제하면서 경제 협의 모델을 만들어갈 지 다들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파월은 다시 인플레 통제할 수 있나
시장에선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정점이 맞나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점이라도 계속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고지론'이 맞다면 긴축정책 강도는 더 거세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긴축 정책으로 경기가 타격을 받을텐데 연착륙은 가능할까가 의문입니다.
이 물음에 대해 파월 의장이 명쾌한 답변을 줄 수 있을까요. 이번 주 파월 의장의 연설일은 17일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콘퍼런스에서입니다.
파월 의장 뿐 아니라 이날은 Fed 인사들이 총출동합니다. 파월 의장 외에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등 총 5명의 Fed 인사가 공식석상에 섭니다. 같은 날 미국 경제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소매 판매 관련 지표가 발표됩니다. WSJ는 미국의 4월 소매판매가 전월대비 1.1%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전월치 증가율인 0.5%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입니다.
이번 주에도 세계는 인플레이션으로 신음할 전망입니다. 영국과 캐나다는 18일에 4월 인플레이션 지표를 내놓습니다. 중국은 20일에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5월 대출우대금리(LPR)를 발표합니다. 3개월째 동결했는데 3개월 가까이 이어진 봉쇄령 속에 LPR을 인하할 지 관심입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 12일 마켓플레이스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을 다섯 단어 이하로 말해달라'는 진행자의 요구에 "인플레이션 재통제"(get inflation back under control)라고 답했습니다. 파월 뿐 아니라 바이든 대통령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중간 선거 전엔 꼬여버린 중동 외교를 바로 풀어야 하지 않을까요.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원흉이 되고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이 다섯 단어(get inflation back under control)를 외치는 날이 올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Copyrights 한경닷컴,
무너지는 EU 단일대오.. 러 석유금수 '타협안' 무산? (0) | 2022.05.30 |
---|---|
"퍼지는 들불같다"..글로벌 경제 동시다발 악재 빈곤국 강타 (0) | 2022.05.18 |
[특파원 시선] 중국 RCEP 대항마 띄우는 바이든..아세안은 미지근 (0) | 2022.05.15 |
이란 빵값 4배 폭등에 곳곳서 항의 시위 (0) | 2022.05.14 |
'중국 견제에 동남아도 들어와'..미, 아세안과 특별정상회의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