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현판[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한국과 일본, EU(유럽연합)에서 금융 및 보험업과 변호사·회계사 등 전문 자격인력·과학 연구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 등 전문 IT 기술 인력 등이 높은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한·일·EU 업종별 임금수준 국제비교'에 따르면 금융 및 보험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이 상위 3대 고임금 업종으로 꼽혔다.
금융·보험업과 도·소매업, 건설업 3개 업종의 월 임금총액은 한국이 일본과 EU의 동일 업종 대비 가장 높았지만, 숙박·음식점업 임금은 가장 낮았다.
예컨대 한국 금융·보험업(7천373달러)은 EU(15개국 평균 6천912달러)보다 6.7%, 일본(4천807달러)보다는 53.4%나 임금이 높았다.
반면에 숙박·음식점업(2천704달러)은 EU(15개국 평균 2천858달러), 일본(2천765달러)보다 낮았다.
이에 업종 간 임금 격차는 한국이 가장 컸다.
국가별 임금수준 1위 업종의 임금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한국이 36.7, EU 41.4, 일본 55.5 순이었다.
또한, 1인당 GDP(국내총생산) 대비 전산업 평균 임금수준은 한국 118.5%, 일본 107.0%, EU 91.7%, 금융 및 보험업도 한국 195.0%, 일본 135.9%, EU 137.8% 순으로 한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경제 수준을 반영한 임금수준이 경쟁국인 EU나 일본보다 우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우리 금융 및 보험업은 한·일·EU를 통틀어 모든 업종에서 가장 높은 임금수준을 나타냈는데, 이는 연공형 임금체계와 강력한 노조의 영향력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인상은 기업의 글로벌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고 임금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우리 노동시장에 더 공정하고 합리적인 임금조정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yg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