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 대통령 '백신 외교' 결실 맺나..獨 '깜짝 계약' 후보 거론

노짱, 문프

by 21세기 나의조국 2021. 6. 14. 15:13

본문

문 대통령 '백신 외교' 결실 맺나..獨 '깜짝 계약' 후보 거론

한국경제  강영연/이주현 입력 2021. 06. 13. 17:45 수정 2021. 06. 14. 01:56 

 

 

문재인 대통령 "韓, 백신허브 역할 수행"
삼바·한미약품·셀트리온 獨 백신 '깜짝 계약' 따낼 수도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한국은 백신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백신 파트너십에 이어 백신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주요국, 백신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독일, 유럽연합(EU), 영국 정상, 아스트라제네카 최고경영자(CEO) 등을 잇달아 만나 백신 외교를 펼쳤다. 문 대통령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서 “백신 개발 선도국인 독일과 백신 생산 분야에 강점이 있는 한국이 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세계 백신 공급이 더 원활하고 공평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독일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술 보유 백신회사들과 협의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G7 정상들은 13일 모든 국가에 유엔 대북 제재 및 관련 제재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코뮈니케)을 채택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북한이 대화에 나서기를 요구한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의 불법적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 가능하고 되돌릴 수 없는 포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G7 정상들은 또 공동성명에 중국을 겨냥한 비판도 담았다. 신장위구르족의 인권 유린 문제와 홍콩보안법 문제, 대만해협 문제, 코로나19 기원 조사 촉구 등 중국이 민감해하는 사안을 다뤘다.

 

 文대통령 '백신 외교' 결실 맺나…獨 코로나 백신, 韓 생산 가능성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무대에서 ‘백신 허브’ 세일즈에 나서면서 국내 백신 제조업체들의 추가 수주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12일(현지시간) 문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에서 “독일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술 보유 백신 회사들과 (한국과의 협력을) 협의하겠다”고 약속했다.

 

메르켈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말한 독일의 mRNA 기술을 가진 기업은 큐어백이다. 이 회사는 mRNA 백신으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이달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화이자와 모더나에 이어 세 번째 코로나19 mRNA 백신을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

 

큐어백은 다른 백신 개발사에 비해 기업 규모가 작은 바이오 벤처라 생산 시설이 충분치 않다. 현재는 독일 스위스 등 유럽에 있는 업체와만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한 상태라 아시아 시장 공급을 위해선 추가 계약이 불가피하다.

 

이미 국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mRNA 백신 원액 생산을 위한 설비 증설을 준비 중이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원액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큐어백은 mRNA 백신을 올해 3억 회분(도스), 내년 10억 회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백신 공급을 늘리려고 하는 큐어백으로선 모더나와 계약을 맺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매력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업계에선 mRNA 합성 기술을 가진 에스티팜, mRNA 백신 대량생산 공정을 개발 중인 한미약품, 유럽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를 판매 중인 셀트리온 등도 ‘깜짝 계약’을 따낼 수 있는 후보로 거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의 백신을 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 스푸트니크V 백신을 위탁생산하는 한국코러스 등으로 인해 유럽에서도 한국 바이오 기업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올라갔다”며 “mRNA 백신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은 만큼 생산설비와 신뢰도를 다소 확보한 국내 기업이 해외 백신 개발사의 아시아 파트너로 주목받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G7 정상회의에서 보건, 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대응에 있어 K방역의 경험을 공유하고, 바이오 역량을 통해 백신 공급 확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며 “미국에서 시작된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의 확대를 도모하는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강영연/이주현 기자/콘월=공동취재단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