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경제독립 액션 플랜) by 존리

서적·독서. 동영상

by 21세기 나의조국 2021. 3. 27. 11:50

본문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경제독립 액션 플랜) by 존리

뤼치맘~ 추천 1 조회 844 21.03.26 10:17

 

오늘 블로그에 올린 서평 공유하고 싶어서 써볼께요 ~

금요일인데 모두 힘내시고 행복한 주말 되세요 ^^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존 리

 

Make your money work for you !!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세 가지

1. 창업가 정신

2. 여성인력활용

3. 금융교육

존 리

이야기를 하면 왠지 격이 떨어진다고 가르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외면하라고 가르치는 꼴이다. 우리는 좀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세상을 살아가는 데 돈이 전부인 것은 아니지만, 돈이 없으면 비참해진다. 한국에서 유난히 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이유를 사람들은 유교에서 찾는다. 하지만 유교의 발상지인 중국은 전혀 그렇지 않다. 유교가 한국에 전파되면서 변질됐을 뿐이다. 내가 아는 많은 중국인들은 돈에 대한 철학이 한국인들의 그것과 전혀 다르다.

.....

무절제하게 소비하고 합리적으로 투자하지 않은 이들은 노후에 대부분 비참해진다. 가난하다는 것은 뭘까? 바로 돈에 끌려다닌다는 것이다.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돈이 없어서 하지 못하고, 부당한 일을 당해도 돈이 없어서 참아야 하며, 은퇴하고 싶어도 돈이 없어서 계속 일을 해야 한다. 금전적인 이유로 국민들이 은퇴를 하지 못하는 나라 순위에서 한국이 두번째로 높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국은 노인층의 빈곤율이 세계 최고인데 노인 취업률 또한 세계 최고다. 돈이 대한 이해와 관리가 부족한 결과다. P. 29 '대표님은 돈이 그렇게 좋으세요?'


굳이 한국에 와서 욕을 먹어가면서(?) 강의를 하는 이분 재미있다. 자비를 들여서 경제독립버스란 걸 만들고 증권사 직원들과 전국을 순회했다.

“가능만 하다면 대한민국 국민 모두 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강의하겠습니다."

존 리씨의 소망은 과연 이루어질까?

주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한 한국 정서상 그의 생각은 쉽게 환영받지 못했다. 그러나 2~3년이 지난 지금은 많이 달라진 것 같다.

자수성가한 부자들의 특징

1. 도덕성, 근면성이 뛰어남

2. 사교성이 좋음

3. 호기심이 많음

4. 투자를 함

5. 사고방식이 긍정적임

존 리

존리 씨의 언급대로 이 중에 공부를 잘하는 것은 부자의 특징에 들어가지 않는다. 공부를 못해도 부자가 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면 부모들은 굳이 비싼 사교육을 시켜야 할까? 이런 사고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면서 호불호도 나뉜 것 같다. 아마도 이분의 주장은 교육열이 유난히 높은 한국 부모들의 정서와 일정 부분 충돌하지 않을까 싶다. 과연 한국의 부모님들은 사교육을 포기할 수 있을까?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 세 가지

1. 사교육비

2. 자가용

3. 부자처럼 보이려는 라이프 스타일

존 리

옆집 아저씨처럼 수수하게 생긴 이 분은 증권사 대표라고 하기엔 참 소박한 인상이다. 왠지 기본 중형차는 몰고 다니셔야 할 분 같은데 백팩을 메고 지하철로 출퇴근한다는 사실도 재미있게 느껴졌다. 주변 시선 상관 않고 자기만의 색깔을 지닌 채 하고 싶은 말 하는 이분이 점점 좋아진다.

국에서는 부자들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부자에 대한 당신의 시각이 혹시 부정적이라면 당장 생각을 바꿔 부자의 길을 선택하고 부자가 되기를 열망해야 한다. 돈이 많아야 어려운 사람들도 도아줄 수 있고 국가를 위해 좋은 일도 많이 할 수 있지 않을까?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들도 부자가 되게끔 해주는 교육, 그것이 어떤 교육보다도 우선시되어야 한다. 유대인들은 부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어려운 동족을 도와주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가르친다고 한다.

미국인들은 부자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 사람이 부자가 되기 위해 기울인 노력, 그 과정에서의 시행착오, 세상을 발전시킨 아이디어, 형성한 부를 가치 있게 쓸 수 있는 계획 등에 대해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의 부를 이용해 사회 발전에 큰 공헌을 하는 부자들이 미국에는 많다. 미국에서 '부자'라는 말은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부자에게 기대되는 성품과 철학을 갖춘 사람이라는 뜻까지 포함한다. 이런 부자라면 목표로 삼을 만하지 않겠는가? 우리는 자녀들에게 시험을 잘 보고 싶다는 꿈보다 부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도록 해주어야 한다. P.60 직업 선택 시 당신은 돈을 중요한 가치로 보는가?

 

P. 5 프롤로그

 

실천이 부족하면 결과도 늦어진다.

나도 그동안은 주먹구구식으로 많이 해왔다.

있으면 먼저 쓰고 그래도 남으면 저축하고 했는데 아주 불규칙한 재테크였다. 작아도 좋으니 눈덩이를 얼른 뭉쳐야겠다. 그리고 차근차근 굴려야겠다. 눈뭉치를, 그리고 그 눈뭉치를 여러 개 만들어야겠다. 진정한 경제적 자유를 얻는 그날까지... 나의 도전은 계속된다.

P. 8~9 목차

 

경제독립을 위한 여정 10단계

1. 자신의 자산. 부채 현황표를 만들어라

2. 수입. 지출 현황표를 만들어라

3. 부채를 줄여라

4. 매일 1만원씩 여유자금을 만들어 투자해라

5. 퇴직연금제도를 활용해라

6. 연금저축펀드에는 꼭 가입해라

7. 경제독립, 온 가족이 함께해라

8. 구체적 목표를 세워라

9. 당신이 전문가임을 깨달아라

10.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당장 시작해라

결과적으로 나의 습관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었다.

복권에 당첨되고 싶으면 복권부터 사라는 우스갯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나는 부자가 될 거야' 하면서 그것을 위해 무슨 행동들을 했나 하고 생각해 보니 부끄러운 수준이다. 실제 꼼꼼하게 계획하고 실천까지 해야 원하는 결과에 근접할 수 있다는 당연한 사실을 또 깨닫는다. 내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 부자 되기 습관을 잘 익혀야겠다.

주식은 사고파는 게 아니라

모으는 것입니다.

존 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