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도, 중국 대신 글로벌 생산기지 가능성…세계경제 주도"

러시아·베트남·인도

by 21세기 나의조국 2020. 8. 16. 14:29

본문

"인도, 중국 대신 글로벌 생산기지 가능성…세계경제 주도"

연합뉴스 기사입력 2020.08.16. 오후 12:00 기사원문 스크랩

 

 

"미중 갈등·코로나 여파 공급망 변화 수혜…10년내 3위 경제대국"
한은 분석…"인도 등으로 공급망 다변화하고 인도 중간재·소비재 시장 공략해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인도가 미·중 갈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점차 중국을 대신해 글로벌 생산기지로 역할을 맡으며 중장기적으로 세계 경제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6일 '인도경제 성장배경 및 코로나19 이후 전망'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봉쇄조치 등으로 인도의 경제는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하다"면서도 "하지만 중장기 성장 전망은 여전히 밝다"고 밝혔다.

한국 - 인도 수출ㆍ수입 (PG)
[권도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무엇보다 최근 나타나는 글로벌 공급망 구조 변화가 인도에게 큰 기회가 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미·중 무역 갈등,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 생산기지를 중국 외 국가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런 변화의 최대 수혜국이 인도가 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예를 들어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애플의 경우 기존 중국 생산 물량의 일부(20%)를 인도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도 정부도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생산시설을 옮기는 기업에 PLI(생산연계 인센티브), 세제 혜택 등을 주고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인도 내 전력·인프라·규제가 개선되면서,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며 "앞으로 인도와 미국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미국 정부의 탈중국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등으로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인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작업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뿐 아니라 일본경제연구센터 등 해외 주요 기관들도 앞으로 10년 내 인도가 세계 3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중국, 아세안 등에 편중된 공급망 구조를 앞으로 인도 등으로 다변화하고, 인도의 성장에 대비해 인도 중간재·자본재 시장을 공략할 전략을 미리 짜둬야 한다고 한은은 조언했다.

인도 인구 규모 및 가구당 소득분포
[한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