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화 환율이 급등 추세를 보이면서 중국 정부가 마지노선으로 보는 달러당 7위안 선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미중이 한 치의 물러섬 없는 치열한 무역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내주 펴낼 반기 환율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는 으름장을 놓은 상태여서 중국 정부는 환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중국 위안화 환율이 급등 추세를 보이면서 중국 정부가 마지노선으로 보는 달러당 7위안 선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미중이 한 치의 물러섬 없는 치열한 무역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내주 펴낼 반기 환율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는 으름장을 놓은 상태여서 중국 정부는 환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8일 밤 홍콩 역외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장중 한때 6.9377까지 급등했다. 이는 위안화 환율이 불안 양상을 보인 지난 8월 15일 이후 최고치다.
간밤 중국 외환시장에서도 위안/달러 환율은 6.9333까지 치솟았다.
9일 오전 역외·역내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여전히 6.92∼6.93대의 높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오전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9% 오른 6.9019위안에 고시했다. 이는 작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위안화 가치는 지난 6개월간 달러 대비 9%가량 떨어진 상황이다.
무역전쟁이 중국 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큰 가운데 최근 들어 미국이 경기 호조를 바탕으로 기존 예상보다 기준금리를 더 높은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면서 위안화를 비롯한 신흥국 화폐 가치 하락 추세가 뚜렷해지는 추세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9월 실업률이 3.7%로 1969년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내는 등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강한 호조세를 보이면서 미국 국고채 10년물 수익률이 3.2%를 돌파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한차례 요동쳤다.
미국의 금리 인상기에 신흥국이 환율을 안정시키고 자본유출을 막으려면 따라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기하방 압력 탓에 중국 중앙은행은 거꾸로 지급준비율을 추가로 인하하는 등 유동성을 푸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자본유출 방지, 환율 안정성 유지와 경기 둔화 방지라는 양립 불가능한 정책 목표 사이에서 중국 정부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 행정부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위안화를 절하시켜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응하고 있다고 의심도 나오지만 과도한 위안하 평가절하는 대규모 자본 이탈을 초래해 가뜩이나 올해 폭락장세를 보이는 중국 증시에 초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정부는 큰 폭의 추가 절하까지는 바라지 않고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내주 환율보고서를 발간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지를 발표할 예정이어서 중국 정부가 보유 달러를 매각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징적인 지지선인 달러당 7위안의 환율 사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고개를 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8월 "중국이 통화를 조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국의 환율정책에 노골적인 불만을 터뜨린 바 있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4월 반기 환율보고서를 내면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이 아닌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는 ▲ 현저한 대미 무역수지 흑자(200억달러 초과) ▲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GDP 대비 3% 초과) ▲ 환율시장의 한 방향 개입 여부(GDP 대비 순매수 비중 2% 초과) 세 가지 기준으로 결정된다. 세 항목 모두 해당하면 환율조작국으로, 두 항목에 해당하면 관찰대상국이 된다.
IMF, 무역전쟁 격화되면 미국보다 중국이 더 타격 (0) | 2018.10.11 |
---|---|
1달러=7위안 심리적 저지선 위태.. 中 정부 깊은 고민 (0) | 2018.10.10 |
일대일로 5년, 내부 반발 + 외부 견제로 급제동 (0) | 2018.10.10 |
'약한모습 싫다' 中, 무역전쟁 출혈 줄이려 총력전 돌입 (0) | 2018.10.10 |
<<<[시나쿨파]中 진짜 위기는 무역전쟁 아니라 시장경제 후퇴>>> (0) | 2018.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