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교류가 활발해지면 항만 분야 협력사업도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이자 세계 5위의 항만이 있는 부산이 남북 항만협력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논의하는 세미나가 16일 오후 부산항만공사에서 열렸다.
시민단체인 부산항발전협의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중앙대 우수한 교수(국제물류학과)는 북한의 해상무역은 동해의 선봉항, 나진항, 청진항, 단천항, 흥남항, 원산항과 서해의 남포항, 송림항, 해주항 등 9개 항만에서 대부분 이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북한의 주요 항만
물동량은 대외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2015년 기준 수출은 2천41만t, 수입은 118만t으로 전체 교역량의 84%를 차지했으며 석탄을 제외한 물동량은 200만t 내외라고 추정했다.
북한의 항만은 대부분 시설이 노후한 데다 대형선박 계류시설과 컨테이너 처리시설 등 현대 항만으로서 갖춰야 할 시설들이 미비하다고 우 교수는 분석했다.
또 항만 배후 교통시설 부족으로 물류효율이 떨어지고 배후에 산업단지가 부족해 항만물동량 창출에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항만물동량 현황
북한의 항만은 육해운성이 건설과 관리를 맡고 있으며 하역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항만 당국이 제공한다.
중국과 베트남 등 체제가 변화한 국가들의 선례를 보면 항만공사를 설립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북한도 장기적으로 항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관리제도와 운영정보 시스템, 선박 출입항 관리, 도선과 예선 등 각종 서비스의 현대화가 필요할 것이라고 우 교수는 밝혔다.
북한의 항만 서비스 인력은 컨테이너 하역과 자동화 장비 조작, 현대화된 해상교통 통제 시스템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고 항만계획 수립 및 수요예측 등 항만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인력도 부족해 양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북한 무역항 시설 현황
따라서 남북협력 초기에는 항만이 교통 인프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설 개·보수, 도로·철도 등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본격적인 단계에 접어들어서는 한반도 전체 경제개발 및 교역지원 시설로서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고 우 교수는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북한 내 항만시설과 운영 실태조사가 선행해야 하며 우선 시행할 수 있는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항만인력 양성, 항만정책 연구, 항만시설 개선, 해운네트워크 구축 등 4개 분야로 나눠 협력사업과 사업주체를 다양화하고 실행 가능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체제로는 해양수산부 산하에 항만남북협력사업단을 설치하고 항만공사, 해양대학, 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수원 등이 참여하는 교육연구사업단과 해운항만사업단을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