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동의 화약고' 터졌다..국제유가 급등 '돌발악재'(종합)

국제· 미국

by 21세기 나의조국 2018. 4. 17. 11:23

본문





'중동의 화약고' 터졌다..국제유가 급등 '돌발악재'(종합)

김정남 입력 2018.04.15. 12:04 


 

'중동 화약고' 시리아 리스크
시리아는 중동 갈등의 축소판
국제유가, 어느덧 70弗 넘어
한은 "유가 일시 급등할 수도"
예상 못한 국제유가 '돌발악재'
韓소비·투자에 악영향 불가피

14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의 새벽 하늘 위를 미국이 쏘아올린 미사일이 가로지르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영국, 프랑스 등 서방 국가들은 이날 새벽 시리아 정부의 화학무기 사용과 관련해 ‘응징 공격’에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중동의 화약고’ 시리아 리스크에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있다. 어느덧 배럴당 70달러를 훌쩍 넘고 있다.

이는 당초 예상 밖이다. 미국 셰일오일이 원유의 대체재인 만큼 60달러대에서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지만, 중동 리스크가 고조되며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이는 원유 수입국인 우리나라의 경제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동 갈등의 축소판’ 시리아 리스크

1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6월물은 전거래일 대비 0.78% 상승한 배럴당 72.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거의 3년반 만의 최고치다. ‘심리적 저항선’을 뚫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0.47% 오른 배럴당 67.39달러에 마감했다. 이 역시 지난 2014년 12월 이후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두바이유도 급등했다. 같은날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상업거래소에서 두바이유 현물가는 0.60% 오른 69.04달러에 마감했다. 두바이유는 최근 4거래일 사이 4.34달러나 상승했다. 두바이유는 중동의 유가 지표다. 우리나라는 중동으로부터 80% 넘게(2016년 기준 85.9%) 들여 온다.


최근 예기치 못한 국제유가 급등은 중동발(發) 지정학적 리스크 때문이다. 특히 시리아가 최대 리스크다.


시리아는 원유를 생산하기는 하지만, 그 양은 매우 미미하다. 시리아 자체만 보면 시장 영향력이 거의 없다. 다만 주목되는 것은 시리아가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이란 등 주요 산유국과 인접해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 중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생산 비중이 36.0%로 가장 높았다. 이라크(13.6%)와 이란(11.7%)이 그뒤를 이었다. 세 나라만 합해도 60%가 넘는 것이다. 시리아 사태가 국제원유시장의 긴장도를 높이는 이유다.


시리아는 중동 갈등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지리적으로도 중동 지역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고, 정치 종교 민족 등의 문제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특히 미국은 영국 프랑스와 함께 시리아 공습을 감행했다. 당장 국제유가가 더 큰 폭 오를 수 있는 것이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유가는 단기 급등할 것”이라며 “WTI 기준으로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브렌트유는 70달러 중반대로 레벨을 높일 수도 있다.


최기산 한국은행 조사국 과장은 “국제유가는 미국 셰일오일 증산 등 하락 요인에도 불구하고 중동 지역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당분간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며 “일시적으로 급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최근 7거래일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가 추이다. 어느덧 배럴당 70달러에 가까운 69.04달러까지 상승했다. 두바이유는 중동의 유가 지표다. 원유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대부분(2016년 기준 85.9%) 중동으로부터 원유를 들여 온다. 출처=마켓포인트


◇“유가 급등, 소비·투자 악영향 불가피”

문제는 우리 경제다. 당초 전망을 넘는 유가 급등 자체가 ‘돌발악재’인 탓이다.


금융시장 인사들은 “레벨 자체로 봐도 60달러대는 산업계가 버틸만 하겠지만 70달러대는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캠브리지에너지연구소(CERA) 등 주요 기관들은 올해 유가 전망치(브렌트유 기준)를 60달러 초중반대로 제시하고 있다. 산업계도 이를 근거로 경영 계획을 짰을 것으로 보인다. 만에 하나 70달러를 훌쩍 넘는 급등세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생산원가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국내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그것도 수요는 반등하지 않는 와중에 공급 충격이 밀어올리는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악재다.


현대경제연구원 추정에 따르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까지 상승할 경우 0.96%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하락 효과가 발생한다. “소비와 투자에 악영향을 미쳐 국내 경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물가 상승에 따른 가계의 구매력 약화로 소비는 0.81%의 하락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점쳐진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