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 소비재 수출 작년 70억弗…사드보복에 '직격타' 우려
중간재·자본재 수출의 활성화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도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으로 인한 중국의 제재에 타격을 입은 한국 기업은 주로 화장품·생활용품 등 소비재를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기업들이다.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90% 이상은 기계·설비 등 자본재와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중간재로, 소비재는 2016년 기준으로 5.6%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본재와 중간재는 기술력이 필요해 대체가 어려운 반면에 소비재는 대체품이 많고 소비자 선택이 중요하기 때문에 영향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한국무역협회와 한국금융연구원 등에 따르면 2016년 대(對)중국 소비재 수출액은 전체 소비재 수출액 662억달러의 11% 가량인 70억2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대중국 전체 수출 규모인 1천244억달러에 비춰봤을 때 미미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소비재 수출국 중 1위다.
중간재·자본재 수출의 활성화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도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으로 인한 중국의 제재에 타격을 입은 한국 기업은 주로 화장품·생활용품 등 소비재를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기업들이다.
한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90% 이상은 기계·설비 등 자본재와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중간재로, 소비재는 2016년 기준으로 5.6%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본재와 중간재는 기술력이 필요해 대체가 어려운 반면에 소비재는 대체품이 많고 소비자 선택이 중요하기 때문에 영향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한국무역협회와 한국금융연구원 등에 따르면 2016년 대(對)중국 소비재 수출액은 전체 소비재 수출액 662억달러의 11% 가량인 70억2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대중국 전체 수출 규모인 1천244억달러에 비춰봤을 때 미미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소비재 수출국 중 1위다.
중국에 수출되는 한국 김치와 쌀
소비재 시장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수출입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고 신흥국을 중심으로 성장이 전망되는 유망한 시장이다.
전 세계 상품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수입액 중 소비재 비중은 2012년 28.6%에서 2014년 30.1%로 증가했다.
중국 또한 중간재 수입은 2000년 63.9%에서 2015년 53.4%까지 떨어졌으나 소비재는 2000년 4.2%에서 2015년 9.2%까지 올랐다.
우리나라 정부와 지원기관들도 대중국 수출 둔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소비재 수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 결과 화장품·의약품 등 5대 유망소비재 수출은 지난해 전체 수출이 5.9%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큰 폭(13.6%)으로 성장했다.
이런 와중에 발생한 사드 갈등은 소비재 기업들에 큰 악재로 작용할뿐아니라 한류 자체의 열기를 식히는 데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한 화장품 업체 관계자는 "지금은 한류를 기반으로 중국 수출이 활성화돼있지만, 중국 정부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혐한의 기류가 대중에까지 퍼져 한류의 소멸을 가져오면 어찌 될까 걱정된다"며 "과거 뜨거웠던 일본과 홍콩의 인기가 어느 순간 사그라든 것처럼 사드 문제 때문에 한류도 사라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요즘 든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공연쪽에서는 실제적인 타격이 있다. 세게적 소프라노 조수미와 피아니스트 백건우의 중국 공연이 취소된 바 있고 김지영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의 중국 공연도 불발로 끝났다.
전 세계 상품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수입액 중 소비재 비중은 2012년 28.6%에서 2014년 30.1%로 증가했다.
중국 또한 중간재 수입은 2000년 63.9%에서 2015년 53.4%까지 떨어졌으나 소비재는 2000년 4.2%에서 2015년 9.2%까지 올랐다.
우리나라 정부와 지원기관들도 대중국 수출 둔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소비재 수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 결과 화장품·의약품 등 5대 유망소비재 수출은 지난해 전체 수출이 5.9%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큰 폭(13.6%)으로 성장했다.
이런 와중에 발생한 사드 갈등은 소비재 기업들에 큰 악재로 작용할뿐아니라 한류 자체의 열기를 식히는 데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한 화장품 업체 관계자는 "지금은 한류를 기반으로 중국 수출이 활성화돼있지만, 중국 정부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혐한의 기류가 대중에까지 퍼져 한류의 소멸을 가져오면 어찌 될까 걱정된다"며 "과거 뜨거웠던 일본과 홍콩의 인기가 어느 순간 사그라든 것처럼 사드 문제 때문에 한류도 사라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요즘 든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공연쪽에서는 실제적인 타격이 있다. 세게적 소프라노 조수미와 피아니스트 백건우의 중국 공연이 취소된 바 있고 김지영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의 중국 공연도 불발로 끝났다.
중국에 수출되는 화장품
하지만 애초에 비중 자체가 작은 소비재 수출에 집중하기보다 비중이 훨씬 크고 정치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덜 받는 중간재·자본재 수출 활성화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자본재 수출은 2015년 기준 95%에 달한다. 중국 수입구조에서도 중간재·자본재 비중은 2015년 기준 68.5%로 높다.
몇 년 간 꾸준히 투자해왔지만, 대중국 수출 중 소비재 비중은 2005년부터 10여년 간 3∼4%대를 전전하다 지난해야 5%대에 돌입했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박사는 "소비재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브랜드화 돼 있어 실제 중요도보다 과도하게 평가된다"며 "한류를 활용해 지금까지 잘해왔지만, 외부 요인으로 지금까지 공들인 것이 한순간에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이 최근 명백히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간재나 자본재는 기업을 대상으로 거래하는 것이고 한번 거래가 성사되면 큰 변동 없이 이어진다"며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재 수요 증가가 주는 기회는 개별 업종 및 기업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