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쟁에 中 통화긴축 선회..韓도 차이나머니 이탈 주의보
김대웅 입력 2017.02.05 13:46 수정 2017.02.05 13:54
[베이징= 이데일리 김대웅 특파원] 중국이 일주일 간 이어진 춘제 연휴가 끝나자마자 단기금리 인상에 나서며 통화긴축으로의 전환에 나서고 있다. 위안화 환율 변동성을 완화하고 부동산 안정 등을 꾀하려 한다는 분석과 함께 트럼프 시대 미국과의 환율전쟁 대비에 본격 나서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경기부양에 치중해온 중국이 이처럼 정책을 선회할 경우 중국자본이 이탈할 수 있는 만큼 우리도 이에 대비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中, 역RP·SLF금리 동시 인상..“통화완화 시대 막 내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 3일 시중은행에 단기자금을 빌려주는 단기유동성지원창구(SLF) 대출금리를 일제히 인상했다. 1일물 금리는 2.75%에서 3.1%로 35bp 올렸고 7일물 금리는 3.25%에서 3.35%로, 1개월물 금리는 3.6%에서 3.7%로 10bp씩 인상했다. 같은 날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도 10bp씩 인상했다. 인민은행은 7일과 14일, 28일 역레포 금리를 각각 2.35%, 2.50%, 2.65%로 종전보다 10bp(0.01%포인트)씩 높였다. 7일과 14일물 역레포 금리를 인상한 것은 지난 2013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고 28일물 금리를 올린 것은 2015년 이후 2년만에 처음이다.
역RP와 SLF 등은 대표적인 단기 유동성 조절 수단으로, 춘제 연휴가 끝나자마자 이같이 동시다발적인 금리 인상에 나선 것은 인민은행 태도 변화를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인민은행은 정책 기조를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시장에서는 사실상 금리 인상에 해당하는 결정을 내리며 통화 긴축 기조로 돌아섰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쉬한페이 자오샹증권 연구원은 “역레포 금리 인상은 인민은행의 통화긴축 신호인 셈”이라며 “이로써 2014년부터 이어져 왔던 통화완화 시대는 이제 완전히 막을 내렸다”고 해석했다. 레이먼드 영 ANZ금융그룹 중국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역레포 금리를 인상한 것은 춘제 이후 당국 스탠스가 달라졌음을 의미한다”며 “특히 이번에 인상한 7일 짜리 역레포 금리는 사실상 단기자금시장의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 환율·부동산 등 안정 도모…美보호주의 대비 목적도
중국 당국이 이처럼 긴축기조로 돌아선 배경으로 인민은행은 위안화 환율 안정화를 꼽았다. 장샤오후이 인민은행 행장조리는 “신중하고 안정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위안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금리와 환율 변동성을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그동안 돈풀기를 통한 경기부양이 역할을 다한 상태에서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과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입장 변화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당장 파급 여파가 큰 기준금리 인상보다 간접적인 방법으로 시장에 대한 자금공급을 시도하려는 것이란 해석이다.
중국 당국의 이같은 입장 변화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에 맞서고 환율전쟁에 대비해 방어 태세를 갖추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는 환율 조작을 일삼고 있다고 비판하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단기 금리 인상에 나서며 통화 절상을 꾀하려는 움직임은 이같은 트럼프의 주장에 대한 반박이 될 수 있다. 중국은 이날 단기 금리 인상 결정과 함께 환율 조작 가능성도 일축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한 번도 환율을 통해 무역 우위를 점하거나 무역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환율을 이용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 韓경제에도 영향…“中자본 유출 가능성 대비해야”
이같은 중국의 통화 긴축 전환은 우리나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이 시중 유동성을 줄이는 긴축적 통화정책을 펴면 한국에 들어와 있는 중국 자본이 빠져나갈 개연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한국은행도 ‘중국 통화정책의 특징과 3대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중국이 최근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에서 ‘안정·중립’ 기조로 공식적으로 전환하면서 상대적으로 긴축적 성격이 강해지는 상황으로 평가했다. 이윤숙 한국은행 중국경제팀 과장은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중국 실물경제가 둔화할 경우 우리 기업의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중국 통화정책 기조가 더 긴축적으로 전개되면 국내에 유입된 중국 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대웅 (daxiong@edaily.co.kr)
★★★<<<中 ‘단배식’서 드러난 상무위원 2개 파벌“올해는 시진핑 vs 장쩌민 결전의 해 될 것”>>> (0) | 2017.02.08 |
---|---|
중국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자산거품 억제 딜레마 직면 (0) | 2017.02.08 |
시진핑 강경외교의 부메랑… 주변국과 갈등 파고 높아져 (0) | 2017.01.25 |
中, 사상 최대 美 국채 매도세…"위안 약세 방어 증거" (0) | 2017.01.21 |
中 자유환율 도입론 '고개'..변동폭 확대 선행 가능성 (0)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