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호주 뚫은 한화 ‘레드백’... 방산업계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 할 일 많다”

자연환경·국방. 통일

by 21세기 나의조국 2023. 7. 30. 13:15

본문

 

호주 뚫은 한화 ‘레드백’... 방산업계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 할 일 많다”

입력2023.07.29. 오후 1:27
 기사원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장갑차 레드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궤도 장갑차 ‘레드백’을 앞세워 호주 시장을 뚫는 데 성공했다. 5년 동안 공들인 끝에 얻어낸 쾌거다. 정부의 ‘글로벌 외교’와 육군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방산 기업 최초로 자체 기획한 ‘수출형 무기 체계’가 선진 방산 시장에 진입할 기회를 확보했다. 특히 방산 강국인 독일을 따돌리고 얻어냈다는 점에서 더 눈여겨볼 만하다. K방산 산업의 위상이 한 단계 더 올라갔다는 평가다. 다만, 방산업계에서는 이번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다른 시장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래형 궤도 장갑차인 ‘레드백(Redback)’을 앞세워 호주 정부의 보병전투차량(IFV) 도입 사업 ‘LAND 400 Phase3’의 우선협상대상자가 됐다. 이번 사업은 호주군이 1960년대에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기 위한 사업이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군은 2027년 하반기부터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한다. 계약 규모는 약 5조원에 달한다.

당초 이번 도입 사업에는 글로벌 선진 방산 기업인 미국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에이젝스’, 영국 BAE시스템스의 ‘CV90’, 독일 라인메탈사의 ‘링스’가 레드백과 경쟁했고, 2019년 9월에 레드백과 링스 2개 기종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이후 치열한 경합을 펼친 끝에, 한화의 ‘레드백’이 최종 승자가 됐다.


방산 경쟁 이제 시작...선진국 견제 본격화될 것
 
한국 무기가 선진 방산 시장에 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성공했지만, 방산업계는 ‘이제 시작’이라는 반응이 많다. 기회가 많아지면서 덩달아 위기도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호주 시장 수출 이후 K방산에 대한 관심은 더 커졌다. 한화는 레드백을 앞세워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 시장까지 노크하고 있다. 한화 외에도 LIG넥스원, 현대로템, KAI 등 기업이 해외 방산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중이다. 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등 조선 업체들은 70조원 규모의 캐나다 잠수함 사업에 도전하며 존재감을 과시한다.

한국 방산 업체들이 입지가 넓어지면서 글로벌 방산 선진국과 기업들의 견제도 본격화됐다. 지난해 K-9 자주포, 천무, K-2 전차 등이 세계 시장에서 인기를 끌자, 미국 방산 업체들은 한국 업체에 시장을 뺏긴다며 자국 정부에 시장 개척에 분발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독일의 경우, 독일 정부가 이번 경쟁 사업에서 라인메탈을 적극 지원하며 한화를 벼랑 끝까지 내몰았다. 이번 결과가 발표나기 전, 독일은 호주와의 방산 협력을 공고히 하며 라인메탈의 입지를 급격히 끌어올렸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독일을 찾았을 때, 라인메탈이 호주 브리즈번에 세운 공장에서 생산한 장갑차 ‘복서’ 100대를 10억달러(약 1조2900억원)에 독일에 역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독일과 호주의 밀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사실상 라인메탈의 ‘링스’로 추가 기운 것 아니냐는 분석이 쏟아졌다. 익명을 요구한 방산업계 관계자는 “우선협상자 대상 선정 발표 이후에도, 라인메탈이 (한화를 견제하기 위한) 여론전을 펼친다는 말이 돌았다”며 “경쟁국 정부와 기업의 견제를 끝까지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장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드론, 미사일 등 새로운 무기 체계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 지난해 호주 내에서는 ‘보병 전투차가 필요하냐’는 논란이 일며 LAND 400 사업을 취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보병 전투차 도입을 반대했던 진영은 기존 무기 체계 대신 드론과 미사일 등 신형 무기 체계 확보가 우선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오랜 논쟁 끝에 당초 450대 규모였던 계약 규모는 129대로 대폭 축소됐다. 호주 정부의 관심도 핵잠수함, 미사일 등으로 옮겨간 것으로 알려졌다.

 

반진욱 매경이코노미 기자(halfnuk@mk.co.kr)

기자 프로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