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금리에 허리 휜다"…저소득 지역, 통화정책 충격 더 커

경제일반(국내)

by 21세기 나의조국 2023. 6. 25. 14:00

본문

"고금리에 허리 휜다"…저소득 지역, 통화정책 충격 더 커

입력 2023. 6. 25. 08:01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가계와 기업에 부담을 더한 가운데, 저소득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충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 부산본부,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통화정책 충격의 영향을 소득 규모별로 볼 때 소득 하위 지역일수록 생산, 소비, 고용에서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1인당 소득(2021년 1인당 총소득 기준)은 울산이 60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충남, 서울, 전남 등이 뒤를 이었으며 대구, 광주 등이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종합생산지수 기준으로 충격 발생 2분기 이후, 취업자수는 3분기 이후 소득 하위 지역에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충격 이후 7~10분기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면서 소득 상위 지역에서 빠른 회복을 보였다.

 

박승문 한은 부산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은 "저소득 가계와 소기업의 금리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영향력이 크다"고 밝혔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충격이 컸다. 수출 비중이 낮고 내수 비중이 높아서다.

 

지역별 제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울산이 61.0%로 가장 높고 충남(54.1%), 충북(51.5%)에서 50% 이상이며 서울(3.7%), 제주(4.2%), 강원(10.5%) 등이 특히 낮다.

 

종합생산지수는 충격 1분기 이후부터 제조업 비중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충격 초기 제조업 비중 상위 지역이 영향을 더 받았으나 이후 빠르게 회복한 반면, 하위 지역은 5분기까지 반응이 커지면서 최대 반응도 컸다.

 

취업자수도 제조업 상위 지역에서 충격의 영향이 작고 회복 속도가 빨랐다.

 

[제공=한국은행 부산본부]

 

인구 구조별로는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남이 23.9%로 가장 높고 경북(23.3%), 전북(22.7%), 강원(22.2%), 부산(20.9%)이 높은 수준이며 울산(14.2%), 경기(14.3%), 광주(15.2%), 인천(15.2%) 등은 낮다.

 

종합생산지수는 충격 이후 3분기부터 고령인구 비중 상위 지역과 하위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매판매액은 1분기, 취업자수는 충격 당기(0분기)부터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박 과장은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자영업 등 취약 부문 종사자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소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산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가계부채 비율(지역별 가계대출/개인소득, 2022년 기준)은 서울이 205%로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높고, 제주(128.5%), 부산(116.6%), 인천(116.6%)이 높은 수준이며 충북(74.7%), 경북(80.2%), 전남(81.0%) 등은 낮다.

 

소비의 경우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충격에 대한 반응이 늦게 나타나고 이후 낮은 지역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생산은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고용은 낮은 지역에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박 과장은 "통화정책은 지역별 산업, 인구, 소득 구조 등에 따라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부산, 제주, 서울, 강원 등이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와 같이 공급측 압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긴축적 통화정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들 지역에 경기 하락 효과가 집중될 우려가 있다"며 "지역별 정책 대응이 가능한 재정정책이나 지방 중소기업 지원 자금 등 미시적 정책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통화정책이 지역별 생산, 고용,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 16개 시도의 2010~2022년 자료를 이용해 분석했다.

 

pink@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