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훨훨 난 K-방산, 자주국방 새 이정표

자연환경·국방. 통일

by 21세기 나의조국 2021. 12. 21. 11:47

본문

훨훨 난 K-방산, 자주국방 새 이정표

머니S,  이한듬 기자 입력 2021. 12. 21. 06:40 
 
[머니S리포트 - 글로벌 경제의 중심 대한민국, 선진국 되다 ⑩] 전투기·우주발사체 등 독자 기술력 확보

[편집자주]“무역의 역할을 언급하지 않고는 오늘날 한국의 발전을 설명할 수 없다. 한국의 지위가 선진국으로 변경된 것은 ‘무역이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라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격언을 증명한 것이다.” 이태호 주제네바 대표부 대사는 지난 7월 2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68차 UNCTAD 무역개발이사회 마지막 날 회의에서 한국을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키로 결정한 데 대해 이 같이 밝혔다.

이 대사가 “UNCTAD의 한국 참여에 있어 역사적인 이정표”라고 한 이날 결정은 UNCTAD 설립 후 57년만에 첫 사례로 기록됐다. 전 세계 32번째로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한국은 올해 무역 규모 1조2000억달러, 수출 규모 6300억달러를 각각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 사상 최대 실적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2월 6일 ‘제58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조선은 사상 최대 수주량을 달성했고 석유화학 수출 500억달러를 돌파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압도적인 세계 1위를 지켰고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바이오헬스 등 3대 신산업과 이차전지·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 수출 역시 두 자릿수 증가율로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글로벌 교역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드높인 산업들을 열거했다.

 

올 한해 최대 사건으로 기록될 ‘선진국’ 인정과 함께 한국의 수출경제, 산업을 글로벌 최강자 수준으로 끌어올린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조선 ▲해운 ▲철강 ▲정유·석유화학 ▲방위산업 ▲제약·바이오 ▲게임 분야의 성과를 돌아봤다.

 

지난 4월9일 문재인 대통령이 경남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고정익동에서 열린 한국형 전투기 보라매(KF-21) 시제기 출고식에서 기념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유승관 기자
 
◆기사 게재 순서
 
(1) 팬데믹 위기에도 빛났던 ‘K-인더스트리’
(2) 코로나 뚫은 K-반도체, 韓 경제 버팀목 ‘우뚝’
(3) 다사다난 ‘K-배터리’, 위기 넘어 미래 준비 올인
(4) 글로벌 휩쓴 K-조선, 고부가 기술 빛났다
(5) ‘역대급 호황기’ 보낸 해운… 운임 연일 신기록
(6) 中감산·가격 인상… 펄펄 끓는 K-철강
(7) 정유 ‘유가 상승’·석화 ‘코로나 특수’로 반등 기지개
(8) K-전기차의 질주, 세계를 사로잡다
(9) 코로나에 우뚝 선 K-제약·바이오
(10) 훨훨 난 K-방산, 자주국방 새 이정표
(11) ‘수출효자’로 거듭난 K-게임, 글로벌 왕좌 재탈환 나선다

올해 한국 방산업계는 자주국방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단군 이래 최대 무기개발 프로젝트로 불리는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의 시제기를 출고하며 자국산 전투기 개발국에 이름을 올렸고 한국 미사일 개발의 족쇄였던 ‘한·미 미사일지침’이 42년 만에 폐기되며 우주산업의 전기를 마련했다. 최근엔 한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완성시킨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성공에 근접하면서 뉴 스페이스 시대의 도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방산 경쟁력, 글로벌 선두로 우뚝

 
한국의 국방력과 방위산업은 글로벌 상위권 수준이다. 미국에서 분석하는 ‘2021 GFP’ 세계 군사력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유럽 주요국을 제치고 글로벌 6위의 국방력을 지녔다. 한국 전체 방산업체의 매출액은 2019년 기준 13조9431억원으로 2001년 3조7013억원에서 18년 만에 3.8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 세계 방산물자 거래에서 한국 무기가 차지하는 점유율도 2016~2020년 5년 간 2.7%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올해는 방산분야에서 굵직한 성과가 잇따라 나오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첫 선을 보인 한국형 전투기다. 지난 4월 9일 ‘KF-21 보라매’의 시제 1호기가 출고됐다. 이 전투기는 독자 기술로 개발된 것이다. ‘전투기의 눈’으로 불리는 능동 전자주사식 위상배열(AESA) 레이더와 적외선 탐색 추적 장비(IRST), 전자광학 표적 획득·추적장비(EO TGP)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시스템이 독자 개발했고 ‘전투기의 심장’인 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으로부터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국산화를 이끈다.

 

지난 10월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위협 레이더 신호를 탐지·교란하는 RF 재머가 포함된 통합전자전 장비는 LIG넥스원이 개발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에서 13번째 자국산 전투기 개발국이자 8번째 초음속 전투기 개발국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KF-21은 내년 7월 시험비행에 들어간다.

미사일 주권을 되찾은 것도 올해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21일(미국 현지시각)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미사일 지침을 완전 폐기하는데 합의했다. 한·미 미사일지침은 42년 전 양국 사이에 체결된 한국의 탄도미사일 개발 가이드라인이다.

이 지침으로 한국은 그동안 미사일 개발에 사거리 제한 등의 엄격한 제약을 받아왔지만 양국 정상이 폐기에 합의하면서 한국은 1000㎞ 이상의 중·장거리(IRBM) 탄도미사일을 독자적으로 개발·배치함은 물론 우주 정찰위성 등도 쏘아올릴 수 있게 됐다. 자주 국방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우주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연 셈이다.
 
올해 주요기업 수출 성과도 잇따라

 
무엇보다 최근 독자기술로 쏘아 올린 누리호가 성공에 근접하면서 우주시대 개척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지난 10월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의 제2발사대에서 발사된 누리호는 모든 비행 절차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지만 궤도 진입에는 최종 실패했다. 완전한 성공을 거두진 못했지만 발사관제로부터 이륙, 두 차례 엔진 점화와 로켓 분리, 페어링과 더미 위성 분리까지 차질없이 이뤄졌다는 것만으로도 한국이 우주 산업을 선도할 경쟁력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누리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한공항공우주산업(KAI), 현대중공업 등 300여 개의 기업에서 약 500명이 참여하는 등 민간 주도로 개발이 이뤄졌다. 내년 5월 예정된 발사에서 최공 궤도진입에까지 성공할 경우 한국은 독자적인 우주개발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국내 주요기업이 자체 개발한 무기도 세계 시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K9 자주포는 최근 호주 정부와 9000억원대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2001년 터키를 시작으로 폴란드,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에 600여문이 수출됐으며 이번 호주와의 계약으로 K9 수출국은 총 7개국이 됐다. 한화디펜스는 현재 이집트와도 수출 협상에 나서고 있다. 이집트 수출에도 성공할 경우 K-9의 수출 총액은 5조원대가 된다.

 

한화디펜스 K-9 자주포. / 사진=한화디펜스
 
한화디펜스가 K-9의 호주 수출에 성공하면서 레드백 장갑차 수출도 청신호가 켜졌다. 레드백 장갑차 시제품 3대는 호주 육군에 인도돼 시험평가를 받고 있으며 결과는 내년 상반기 나온다.

KAI는 경공격기 FA-50을 앞세워 말레이시아와 10억달러 규모의 수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KAI는 2013년 필리핀에 FA-50 12대, 2014년 이라크에 24대를 각각 수출한 바 있다. KAI는 시장 확대를 위해 콜롬비아와 페루, UAE 등에서도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LIG넥스원은 아랍에미리트(UAE)와 4조1500억원 규모의 천궁-Ⅱ 수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국내 방위산업 사상 역대 최대 규모다. 천궁-Ⅱ는 탄도탄 요격을 위해 교전 통제 기술과 다기능레이더의 탄도탄 추적기술이 적용됐고 유도탄은 빠른 반응시간 확보를 위해 전방 날개 조종형 형상 설계 및 제어기술, 연속 추력형 측추력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들이 적용됐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UAE와 정식으로 수출계약을 맺으면 국제적으로 한국산 무기의 성능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한듬 기자 mumford@mt.co.kr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