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세제개편안이 시진핑의 새로운 두통거리가 됐다. 금리 인상 추세 속에 대규모 감세안까지 통과되면 중국에 머무르던 투자자본이 대거 미국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막대한 부채를 가진 중국으로서는 금융위험이 커지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으로부터 통상압력을 받는 중국 정부가 세제개편이라는 즉각적인 위협 예방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고 전했다. 중국이 가장 우려하는 건 법인세 인하를 골자로 하는 미국의 세제개편과 금리 인상으로 투자자본이 대량 유출되는 사태다. 미국이 법인세를 35%에서 20%로 낮추면 많은 제조업체가 중국 대신 미국에 둥지를 틀 가능성이 있다. 중국의 법인세(기업 소득세)는 25%로 미국보다 낮지만 17%에 달하는 증치세(부가가치세)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미국보다 세금 부담이 훨씬 크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법인세를 낮추면 미국의 기업환경이 훨씬 좋아질 수 있다. WSJ은 "중국의 긴급함은 트럼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마주한 중국의 도전을 나타낸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안이 중국을 직접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중국을 압박하는 또 다른 방법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금리가 올라가는 추세라는 점도 중국에는 악재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2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은 90% 이상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위안화 가치 하락과 외화보유액 감소, 수출 둔화 가능성이 커진다는 의미다.
연준이 9년 만에 금리를 올렸던 지난해 12월 이후에도 중국은 자본유출과 위안화 약세를 겪었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지난 9월 미국의 금리 인상 직전보다 6% 넘게 떨어졌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도 25%나 폭락하며 중국 정부를 당혹스럽게 했다. 중국 당국이 자본유출과 위안화 약세를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면서 외화보유액도 크게 줄었다. 미국발 금융위험 예방을 위해 중국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조처로는 금리 인상, 자본통제 강화, 통화시장 적극 개입 등이 꼽힌다. 또한, 내년 경제정책으로 '온중구진'(안정 속 개혁 추구)을 강조할 전망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어느 정도 포기하면서까지 부채를 줄이고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할 전망이다. 중국은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직후인 오는 18~20일 내년 경제정책 밑그림을 그리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연다. 중국의 한 고위 관료는 WSJ에 "미국의 감세안은 ‘회색코뿔소’(뻔히 보이지만 간과되는 위험)"라며 "우리는 내년 1분기 (미국과) 치열한 전투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금융협회의 중국 담당 연구원 진 마(Gene Ma)는 "중국에 대한 충격은 결국 중국 경제의 건강함에 달려 있다"면서 "2015년에도 증시 폭락과 위안화 가치 급락으로 중국 시장에서 6760억달러가 유출됐는데 결국 지금은 괜찮아졌다"고 설명했다. |
세계 IoT 가입 회선 절반은 중국이 차지 (0) | 2018.01.21 |
---|---|
中 세계 첫 태양광 고속도로…주행중 무선충전·전력도 생산 (0) | 2017.12.31 |
中 가스대란, '교통대란' 불러..연료 부족에 운행중단 속출 (0) | 2017.12.09 |
<<<[글로벌인사이드] '도시의 이방인' 농민공, 시진핑 장기집권 흔드나>>> (0) | 2017.12.08 |
<<<'캘리차이나' 중국 선전의 비상.. 광저우 제치고 상하이, 베이징도 위협>>> (0) | 2017.12.08 |